효율성·복원력 등 기존 방식에도 뒤져

[금융경제신문=장인성 기자]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현재의 분산원장이 국내 금융기관들 간 자금이체 등의 작업에 적용하기에는 효율성이나 복원력 측면에서 성능이 기존 방식에도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13일 한국은행은 금융정보화추진협의회 사업의 일환으로 분산원장기술(Distributed Ledger Technology) 기반 방식을 은행 간 자금이체에 적용, 모의테스트를 실시한 결과 이같이 진단됐다고 밝혔다.

이번 모의테스트는 현행 한은의 금융망 기능 중 은행 간 자금이체 업무를 분산원장기술로 구현해 테스트해 봄으로써 분산원장 기술의 현실 적용 가능성 및 한계점을 점검하려는 취지로 작년 9월부터 올해 1월까지 국내 16개 은행과 증권·보험(3개), 금융결제원 등 6개 유관기관 등 28개 기관이 참여했다.

특히 한은의 금융망 기능은 한은에 개설된 금융기관의 예금계좌를 기반으로 금융기관 간 자금이체, 콜거래, 증권대금, 외환매매대금 등의 자금을 결제하는 시스템으로 이번 분산원장 기술 적용 결과가 중요하다.

효울성과 복원력, 보안성, 확장성 등 4가지의 평가항목으로 진행됐는데 테스트 결과 현재의 분산원장기술을 이용한 은행 간 자금이체는 시스템의 효율성과 복원력 측면에서 기존 방식에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처리 속도 지연, 장애 시 복구 곤란 등 시스템의 효율성과 복원력도 현저히 떨어지는 것으로 분석됐다.

다만 권한이 없는 자의 시스템 접근 차단, 참가기관의 확대 허용 등 보안성과 확장성 측면에서는 테스트 결과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관련해 한국은행 관계자는 "앞으로 분산원장기술의 발전 동향을 예의 주시하는 가운데 관련 기술의 현실 적용 가능성에 대한 연구를 지속해 나갈 계획"이라고 답했다.

저작권자 © 금융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