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소비 부진 탓 평균소비성향 0.2%p 하락 78.9% 그쳐

[FE금융경제신문=권이향 기자] 가계소비 부진 영향 탓으로 전체 소비 증가세가 주춤하면서 지난해 국민 처분가능소득에서 민간, 정부 부문의 최종소비지출 비중을 따진 평균소비성향이 13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

27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국민 처분가능소득은 작년보다 5.0% 증가한 1390조7998억원으로 최종소비지출은 4.7% 증가한 1097조5817억원이었다.

국민처분가능소득 대비 최종소비지출 비중을 뜻하는 평균소비성향은 78.9%로 나타났다. 이는 소득보다 소비지출 증가세가 둔화된 영향으로 보인다. 이 비율은 지난해 79.1%보다 0.2%포인트 하락했으며 지난 2004년 78.1% 이후 최저치다.

평균소비성향은 1980년대 말 60%대에서 2000년대 초반까지 꾸준히 상승세를 탔다. 특히 지난 2001년 81.9%를 기록한 이후 2000년대에는 주로 80% 초반 대에 머물렀다.

하지만 지난 2012년 81.6%를 끝으로 하락세가 시작됐다. 2015년 80.0%에서 2016년 79.1%로 떨어지더니 작년에는 더 내려갔다. 전문가들은 이와 같이 평균소비성향이 떨어진 배경으로 민간이 지대한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최종소비지출을 민간과 정부로 나눠 보면 민간 소비 증가율은 4.2%로 정부 소비(6.5%)뿐만 아니라 국민처분가능소득 증가율(5.0%)보다 낮았다. 민간소비의 90% 이상이 가계소비라는 점을 고려하면 고질적인 민간소비 부진이 평균소비성향을 떨어뜨린 요인으로 작용한 것을 알 수 있다.

게다가 최근 고령화, 내수·고용 부진 때문에 미래 소득이 불안해지면서 돈을 벌 수 있을 때 쓰지 말고 모아두어야 한다는 가계 심리도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국내의 평균소비성향은 주요국과 견줘도 신통치 않았다. OECD 평균(한국 제외·2015년 기준)은 92.5%로 국내보다 13.6%포인트 높다. 이뿐만 아니라 OECD 평균소비성향이 지난 2006년에서 2015년 사이 2.7%포인트 상승한 것과 비교하면 한국은 같은 기간 1.4%포인트 뒷걸음질치며 둔화 속도가 빠르게 나타났다.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소득이 생각보다 늘지 않고 경제가 불안해질 것 같다는 생각에 소비가 위축되고 있는 것"이라고 설명하며 "민간 부문의 고용 창출, 승용차 개별소비세 인하와 같은 감세 조치 등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 금융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