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행동주의 해지펀드 경영간섭 급증세
무리한 요구 빈번 타겟 기업 경쟁력 약화돼
차등의결권·포이즌필 등 경영권 방어책 시급

[FE금융경제신문=이도희 기자]글로벌 행동주의 헤지펀드의 적대적 경영개입이 최근 이슈로 떠오르고 있는 가운데, 국내 기업에 대한 경영개입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어 경영권 보호장치 도입을 논의해 봐야할 것으로 보인다.

한국경제연구원은 28일 ‘액티비스트 인사이트 2018 보고서’에 기반해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글로벌 행동주의 헤지펀드가 기업의 경영에 적극적으로 간섭하는 경향이 점차 커지고 있다고 밝혔다.

주주행동주의를 표방하는 글로벌 헤지펀드는 2013년 상반기 275개에서 올해 상반기 524개로 약 90% 늘었으며, 행동주의 펀드가 공개적으로 경영에 개입한 타겟 기업 역시 2013년 570개에서 지난해 805개로 약 41% 증가했다. 아울러 최근 들어 규모가 큰 기업에 대한 투자 비율도 높아져 시총 20억달러(약 2조원) 이상의 기업 비중이 2016년 33%에서 지난해 36%로 높아졌다.

한경연에 따르면 이들의 아시아 기업을 대상으로 한 경영개입 횟수는 2011년 10회에서 2017년 106회로 크게 늘어났으며, 그동안 일본 및 중국 기업 대상 사례가 많았지만 엘리엇의 2015년 삼성물산 제일모직 합병 개입, 2018년 현대차그룹 구조개편 개입 등을 보면 한국도 안심할 수는 없다고 주장했다.

특히 이들 행동주의 펀드들의 문제점은 장기적 관점의 투자가 아니라 경영개입으로 주가를 끌어올려 단기 시세차익을 내고 떠난다는 점이다. 엘리엇은 2015년 미국 광산업체 Alcoa의 주식을 취득해 이사회 자리를 3석 차지한 뒤 스핀오프, CEO 사임 등을 요구한 후 2017년 마지막 분기에 보유 주식의 2/3 가량을 매도, 104%의 수익을 남겼다. 써드 포인트 파트너스 역시 2011년 야후 주식을 다량 매수, 이사회 의석을 확보하고 2012년 야후의 CEO 스콧 톰슨을 내쫓는 등 공격적인 개입을 진행해 2013년 보유주식 3분의 2를 매도해 124%의 수익률을 냈다.

이런 공격을 받은 기업들은 구조조정, 경영진 교체까지 강요받는 등 안정적 경영을 유지하기 힘들어져 하락세를 걷기 쉽다. 특히 야후는 그 이후로 계속 하락세 나타낸 후 지난해 미국의 통신사 버라이즌에 약 5조원 가치의 핵심자산을 넘겼다.

행동주의 펀드와의 위임장 대결로 초래되는 비용 역시 기업에게는 큰 부담이다. 2015~2017년 통계 기준 시가총액 100억달러 이상 기업이 행동주의 펀드와 위임장 대결을 했을 경우, 평균적으로 펀드 측은 700만달러, 기업은 1400만달러를 지출해 기업측이 2배가량 더 많은 비용을 소비하게 된다. 실제 지난해 P&G는 행동주의 펀드 트라이언 파트너스와 위임장 대결을 펼쳐 1억달러가 넘는 비용을 지출한 반면, 대결 상대인 트라이언 파트너스는 2500만달러만 지출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이들 행동주의 펀드들은 경영개입 초반 온건한 노선에서 나중에는 적대적 노선으로 돌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맥킨지 컨설팅의 조사에 따르면 행동주의 펀드의 개입은 10번 중 7번은 협조적으로 시작하지만 나중에는 절반 이상이 적대적인 태도를 취해, 자신들의 요구가 받아들여지지 않으면 소송 등 극단적인 공격도 마다하지 않았다. 이러한 상황에 놓인 기업은 사실상 경쟁력 개선을 기대하기 어렵다.

유환익 한경연 혁신성장실장은 “최근 몇 년간 행동주의 헤지펀드의 공격적인 경영개입 성향을 고려할 때 우리나라도 차등의결권·포이즌필과 같은 경영권 방어 수단 도입을 본격적으로 논의할 시기”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금융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