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탕 노리고 단기투자만 집착 결국 큰 손실 돌아와
전문가들 적립식·간접상품 위주 장기·분산투자 조언

[FE금융경제신문=이도희 기자]국내 개인투자자들의 도박성 단타 거래 성향이 갈수록 심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한탕주의를 노린 이들의 단기 매매 성향의 투자는 결국 손해로 돌아와 사회 문제화할 가능성마저 있어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코스피지수가 지난 1월 역대 최고점(1월 29일 장중 2607.10)을 찍은 이후 연중 하락 일로를 걸었다. 하지만 개인 투자자들의 전체 거래대금과 비중은 올 들어 더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들은 코스피보다 코스닥에서 압도적인 거래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상장지수펀드(ETF) 시장은 개인의 레버리지·인버스 상품 중심으로 거래가 활발하다. 개인들은 실적 적은 바이오주에 빚까지 내 적극적으로 베팅하고 다시 널뛰기 시작한 정치 테마주의 주도 세력도 개인 투자자다. 금융시장이 성숙할수록 단기보다는 장기적인 시계에서 투자하려는 성향이 강해지지만 국내 개인들은 고위험 단타 위주의 투자 성향이 갈수록 심화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 14일까지 약 1년간 코스피와 코스닥에서 개인 투자자의 거래대금은 총 1781조6090억원으로 전체 거래대금의 65.4%를 차지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의 거래대금(1312조4078억원), 비중(62.9%)과 비교해 각각 469조2012억원, 2.5%포인트 증가했다.

올 들어 코스피지수가 2467.49에서 2069.38로 코스닥지수는 798.42에서 666.34로가 각각 16.13%, 16.54% 하락했지만 증시가 고공행진 했던 작년보다 개인들은 더 적극적으로 투자에 나섰다.

개인투자자들은 대형주가 중심인 코스피시장보다 주가 변동성이 높은 중소형주가 주로 상장된 코스닥시장에 활발하게 투자해, 올 들어 코스닥에서 개인들의 거래 비중은 84.3%로 압도적이었다. 코스피에서 개인 거래 비중 51.0%과 비교해 월등히 높았다.

우리나라를 비롯 세계적으로 가파르게 성장하는 ETF 시장에서도 국내 개인 투자자들의 높은 위험 추구 성향이 나타났다. ETF는 코스피200, 금, 원유 등 특정 지수나 상품의 움직임과 수익률이 연동하도록 설계된 투자 상품이다.

다른 나라의 ETF 시장이 다양한 자산·업종·테마에 적절히 분산돼 투자되고 있는 것과 달리 국내 ETF 시장은 단기 고위험·고수익의 대표적인 상품인 레버리지와 인버스 ETF에 편중돼 있다. 일반 ETF가 지수와 비슷한 수익률을 내는 것을 목표로 하는 데 비해 인버스 ETF는 추종하는 지수가 하락할 때 통상 1배 이익을 내도록 설계돼 있다. 레버리지 ETF는 지수보다 2배 이상 높은 수익을 추구한다.

신영증권에 따르면 국내와 미국의 레버리지 및 인버스 ETF는 전체 ETF에서 종목 수 기준으로 비중이 모두 20% 내외다. 하지만 레버리지 및 인버스 ETF 운용자산 비중은 미국이 1.4%인데 반해 우리나라는 20.3%다. 거래량 기준 국내 레버리지와 인버스 ETF는 전체의 약 70%에 달하지만 미국은 17.3%에 그친다.

일반 ETF를 장기 투자 관점으로 보유하는 미국과 달리 단기 투자에 집중하는 국내 투자자들의 성향 탓에 ETF 시장도 단기 상품 위주가 됐다는 것. 특히 개인들이 국내 레버리지·인버스 ETF의 절반을 점유하고 있는 반면, 외국인은 35% 기관은 아예 투자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에 미래 유망사업으로 불리지만 실적은 미미한 바이오주에 개인 투자자들이 몰려 바이오주는 연일 상한가를 치고 있다. 이러한 바이오주 열풍은 빚까지 불사하는 개인의 적극적인 투자 덕분으로, 최근 분식회계 논란 속에 상장폐지 심사까지 겪은 삼성바이오로직스 주식을 가장 적극적으로 사들인 것 역시 개인투자자들이었다.

정치 테마주 역시 국내 증시에만 나타나는 특징으로 종목의 펀더멘털과 관계없이 유력 정치인과 상장사 대표가 동문이라는 등의 소문으로 주가가 널뛰는 행태는 여전하다.

이 밖에도 초고위험 투자 방식인 공매도에 대한 개인들의 지나친 관심과 공모주 청약 시의 과도한 경쟁률 등은 개인 투자자들의 무모할 정도의 투자 성향을 보여주는 예다.

전문가들은 국내 개인투자자들이 단기간에 고수익을 바라고 주식에 투자해 결국 잃는 경우가 대부분이라며 단기투자에 연연하지 말고 적립식·간접상품 위주로 장기·분산투자해야 수익률을 높일 수 있다고 조언했다.

저작권자 © 금융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