똘똘한 한 채·개발 열풍 겹쳐 서울 집값 ‘고공행진’
경기부진·수도권 쏠림 영향 지방 부동산 ‘사면초가’

[FE금융경제신문=정순애 기자]올해 부동산 시장은 ‘초양극화’란 한마디로 정의할 수 있을 정도를 극단을 오간 한해였다.

서울은 정부의 지난해 8·2 대책 이후 시장규제 탓에 냉랭하게 시작해 냉탕과 열탕을 오르내렸다.

연초에는 ‘똘똘한 한채’로 시장이 들썩인데 이어 박원순 서울시장의 ‘용산·여의도 통개발’ 발언에 급상승했다. 한국감정원의 주간아파트 가격동향에 따르면 올해(1월 첫 째주~12월 둘 째주) 서울 아파트값은 전년 동기 대비 6.92% 올랐다. 특히 9월의 아파트 실거래가가 한 달간 5.73% 오르는 등 2006년 이후 역대 월간 최고 상승률을 기록해 ‘미친집값’이라는 신조어가 탄생하기도 했다.

이에 정부가 9·13대책으로 수요 억제에 나섰고, 수도권 개발계획 발표와 연말 새 아파트 입주물량까지 늘어 서울집값은 싸늘하게 식은 가운데 새해를 맞이하게 됐다.

하지만 지방의 경우 주택시장 침체가 지속돼 수도권의 집값 열풍과 대조를 이뤘다. 올해 울산 아파트값은 11.20% 떨어졌고 경남도 10.01% 급락했으며 경북(-6.88%), 충북(-6.85%) 등도 크게 하락해 상대적인 박탈감을 느낄 정도였다.

다만 광주(4.23%), 대구(3.23%), 대전(2.55%) 등 일부 5대 광역시는 지방주택시장 침체에도 불구 상승세를 나타냈다. 지역별 차별화의 초양극화가 전국적으로 진행됐다고 볼 수 있다.

집주인과 실수요자들 역시 오락가락하는 집값에 환호와 탄식이 교차했다.

지난 8~9월 ‘비이성적 과열’이라는 시장의 평가가 나올 정도로 무주택자들을 탄식하게 했던 서울의 집값은 최근 한달여 조정을 진행 중이다. 하지만 크게 오른 집값에 집주인들의 눈높이가 한껏 높아져 여전히 높은 호가를 내걸고 있다. 반면 실수요자들은 집값 내림세를 기대하고 매수를 미루고 있어 ‘거래절벽’ 현상이 이어지고 있다.

특히 하반기 9·13 부동산대책 등 정부가 강력한 대출 규제를 내세워 실수요자마저 대출 문턱이 좁아지는 등 부동산 시장 냉각에 직격탄을 날렸다. 이에 실수요자들은 관망세로 돌아서며 전월세집에 눌러 앉아 훗날을 도모하고 있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올해 1~11월 누계 전월세 거래량이 전년동기대비 9.1% 늘어난 168만8000만건을 기록하는 등 최근 5년간 최대 규모를 나타냈다.

청약시장 역시 양극화가 극심했다. 수도권은 미친 집값과 정부의 분양가 통제가 겹쳐 ‘로또아파트’가 유행했으며, 일부 서울 강남권 재건축·재개발아파트 청약시장은 강력한 대출 규제로 현금부자들이 독식하는 부작용이 나타났다. 하지만 청약열풍은 수도권과 5대 광역시 등 일부 지역에 국한됐으며, 그 외 지역에서는 미분양이 늘어나고 있어 향후 지방 분양시장 전망은 어두운 상황이다.

저작권자 © 금융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