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대적인 홍보 불구 가맹점 태부족에 사용 메리트도 없어
소리없이 사라진 서울시 개발 택시 앱 '지브로' 재판 우려

서울시 제로페이가 시행된 지난달 20일 서울 중구 세종대로의 한 커피전문점에서 박원순 서울시장이 제로페이 결제시연을 하고 있다.(사진=뉴시스)
서울시 제로페이가 시행된 지난달 20일 서울 중구 세종대로의 한 커피전문점에서 박원순 서울시장이 제로페이 결제시연을 하고 있다.(사진=뉴시스)

[FE금융경제신문=김다운 기자]박원순 서울시장이 착한 소비를 내세워 정책사업으로 추진하고 있는 제로페이가 대대적인 홍보에도 불구 소리 소문 없이 사라진 택시앱 ‘지브로’의 전철을 밟을 가능성에 우려가 커지고 있다.

지난달 20일 시범서비스를 시작한 제로페이는 서울시가 심혈을 기울여 추진하고 있음에도 턱없이 부족한 가맹점에서부터 시련을 겪고 있다. 제로페이가 확보한 가맹점은 약 3만여곳 수준으로 전체 소상공인 점포의 3%에 불과한 실정이다. 여기에 부진한 가맹점 모집을 독려하기 위해 주민센터 공무원은 물론 산하기관 직원들까지 동원해 물의를 빚었으며, 더딘 가맹점 유치에 마음이 급한 서울시가 급기야 민간업체에 유치를 맡기며 유치 비용으로 한 곳당 2만5000원의 수당을 세금으로 지급하기로 해 비판을 받았다.

제로페이가 비판을 받는 이유는 이뿐만이 아니다. 소상공인 결제수수료 부담을 0%로 낮추겠다는 취지로 시작했으나, 이미 민간에서 만든 삼성페이·네이버페이·카카오페이 등이 다양한 부가서비스와 편리성으로 무장하고 간편결제 시장을 주도하고 있음에도 별다른 메리트가 없는 제로페이를 만들어 이에 숟가락만 얹으려한 행태와 착한소비라며 소비자에 서비스를 쓰라고 강요만 하고 있는 상황은 사실상 예견된 실패라는 지적이다.

업계 관계자들은 제로페이가 지난해 말 카카오택시의 목적지를 골라 태우는 병폐를 없애겠다며 서울시가 대대적인 홍보에 나선 바 있는 택시 앱 ‘지브로’가 택시기사들의 외면 속에 조용히 사라진 사례와 오버랩 되며 세금 낭비의 대표적 사업으로 각인될 가능성이 커 보인다고 꼬집었다.

저작권자 © 금융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