택시업계 잇단 분신 등 극심한 반발에 시범 서비스도 중단키로
10년내 180조 성장 모빌리티 시장 위한 ‘빅데이터’ 수집 꼭 필요

[FE금융경제신문=정순애 기자]택시기사들의 잇단 분신으로 카카오가 카풀 시범서비스 조차 중단한 가운데, 그럼에도 카카오가 결국 카풀을 포기하지 않고 정식 서비스로 출시할 것이란 예상이 나와 주목된다.

카카오모빌리티는 지난 15일 택시업계와 원만한 합의를 원한다며 카풀 시범서비스도 잠정 중단한다고 밝혔다. 택시기사들의 극심한 반발 속에 분신 등 극단적인 선택이 이어지자 한발 물러서는 모양새다. 카카오 측은 원만한 합의점이 도출되지 않을 경우 사업 백지화도 검토하고 있다는 의사까지 내비쳤다.

하지만 업계에선 카카오가 카풀 서비스를 포기하지는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카카오모빌리티를 통해 지난해 12월 17일 ‘카카오 카풀 테스트 버전’을 출시하며 시범 서비스에 나선 카카오 카풀 서비스는, 탑승자가 카카오에 우선 지불한 이용료 중 20%를 수수료로 떼고 운행자에 지급하는 구조로 이뤄져 있다. 예를 들어 카풀 운영자를 1만명으로 추산하고 회당 평균 요금이 1만원이라고 가정하면 연간 72억원의 수수료 수입이 예상되는 것이다.

택시기사들의 극심한 반대를 무릅쓰고 하는 사업 치고는 수익 크다고 볼 수 없다. 즉 카카오 진짜 목적은 따로 있는 것으로 보인다. 업계에선 카카오의 진짜 목적은 ‘데이터’로 보고 있다.

실제 카카오는 지난 3년간 카카오택시와 카카오 대리운전을 운영하며 약 300억원의 적자를 봤으나 이를 통해 서울 주요 지역의 택시 유입량·운행량, 대리운전 기사의 이동 경로 등을 확보해 이를 바탕으로 상권분석 빅데이터를 얻어낸 것으로 알려졌다.

여기에 카풀 서비스를 통해 얻을 수 있는 빅데이터를 더하면 현재 8조원 규모에서 10년 안에 180조원 규모로 커질 것으로 예상되는 국내 모빌리티 시장을 독점할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일반 운전자의 운행기록을 확보할 경우 자율주행기술에 필요한 정보는 물론 주유·정비 산업에 활용할 수 있는 정보까지 얻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카카오가 택시 업계의 카풀 서비스를 포기할 수 없는 진짜 이유다.

저작권자 © 금융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