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의 광화문광장 프로젝트.. 광화문광장 확대 등 교통, 역사문화, 보행 대대적 혁신
도로 축소 따른 교통문제, 막대한 예산 문제,
세종대왕상 및 이순신 장군상 이전 논란 등 제기

광화문 광장 당선작 조감도.

[FE금융경제신문=정순애 기자] 서울 광화문광장이 오는 2021년 차 중심의 거대한 중앙분리대라는 오명을 벗고 역사성을 간직한 국가 상징광장이면서 열린 일상의 민주공간으로 탈바꿈한다.

세종문화회관 앞 차로가 광장으로 편입돼 광장 규모가 3.7배로 확장되고 해치광장 등 세 곳으로 단절돼 있던 지하공간은 하나로 통합된다.

지상과 지하 광장은 선큰공간으로 연결, 서울 도심 역사문화경관의 핵심인 경복궁~북악산의 한국적 경관을 재구성한다.

광화문광장의 단절을 극복함으로써 북악산~한강으로 이어지는 역사경관축을 회복한다.

서울시는 지난21일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새로운 광화문광장의 미래 청사진인 국제설계공모 최종 당선작을  발표하고 2021년 새로운 광화문을 향한 첫 걸음을 시작한다고 22일 밝혔다.

시는 새로운 광화문광장의 기본 방향을 광화문의 600년 ‘역사성’, 3.1운동부터 촛불민주제까지 광장민주주의를 지탱해 온 ‘시민성’, 지상·지하 네트워크 확대를 통한 ‘보행성’ 회복이라고 설명했다.

이를 통해 광장과 주변 도시공간을 유기적으로 연결하는 것이 큰 그림이다.

이를 토대로 주작대로(육조거리) 복원을 통한 국가상징축(북악산~광화문광장~숭례문~용산~한강) 완성, 지상·지하광장 입체적 연결을 통해 시민이 주인인 다층적 기억 공간 형성, 자연과 도시를 아우르는 한국적 경관의 재구성(북악산~경복궁~광화문) 등 크게 세 가지 목표를 구현할 예정이다.

즉, 기존 왕복 10차로인 세종대로를 6차로로 줄이고 경복궁 앞에는 역사광장(약 3만6000㎡)이 들어서고 남측으로는 시민광장(약 2만4000㎡)이 조성된다.

또 세종로공원 부지에는 콘서트 홀을, 주변에는 잔디테라스 및 그늘쉼터 등이 들어선다.

해치마당 등 3곳으로 나뉘어 있던 지하공간은 하나로 합칠 예정이다.

GTX-A노선 ‘광화문 복합역사’ 신설도 추진한다.

서울시는 이번 사업을 「새로운 광화문 프로젝트」로 명명하고, 미래 광화문광장을 차질 없이 구현하는 동시에 역사문화, 교통, 가로환경 등을 아우르는 광화문 일대 도시공간을 대대적으로 혁신한다고 밝혔다.

이번 프로젝트를 위해 17개 국가에서 총 70개 팀(국내 38개, 해외 32개), 202명의 건축·조경 전문가가 참여해 ‘광화문광장’이라는 상징성 만큼이나 뜨거운 관심 속에 70:1의 경쟁률을 뚫고 <Deep Surface(과거와 미래를 깨우다)>(CA조경, 김영민(서울시립대 조경학과), ㈜유신, ㈜선인터라인 건축)이 당선됐다.

박원순 시장은 "2021년이면 서울에도 런던의 트라팔가 광장, 파리의 개선문 광장 같은 대한민국 국가 상징광장이 시민 품으로 돌아온다. 광화문 일대는 수도 서울 600년 역사의 국가 상징 공간으로서 수많은 역사를 간직하고 있는 소중한 공간으로, 「새로운 광화문 프로젝트」는 서울이라는 도시를 다음 세대에 자랑스럽게 물려주기 위한 기본 전제다. 다양한 주체가 조성 과정에 참여하는 모두의 광장으로, 시민들에게 사랑받고 세계인들이 즐겨 찾는 명소로 만들어가겠다"고 말했다.

이와관련, 이번 프로젝트를 두고 광장 확장, 도로 축소에 따른 교통문제, 막대한 예산 문제, 세종대왕상 및 이순신 장군상 이전 논란 등에 대한 우려가 나오고 있다.  

광역급행철도 및 GTX역을 광화문에 조성해 교통 문제 해결 방침인 서울시 계획에 막대한 예산 문제와 세종대왕 및 이순신 장군 동상 등 상징 조형물 이전 계획에 따른 반대 여론, 광장 확장과 도로 축소에 따른 교통 수요 등이 해결해야될 과제라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저작권자 © 금융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