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 여의도 국회도서관 ‘핀테크 산업 확대와 사회적 대응전략모색을 위한 토론회’ 열려
추혜선 의원 “정부 광범위한 컨트롤타워 설치 필요…상임위 차원에서도 활발한 논의”

[FE금융경제신문=권이향 기자] 점포 없는 인터넷전문은행의 등장, 비대면 영업 및 모바일앱 서비스 확대 등 이미 핀테크는 우리 생활에 깊숙히 들어왔다. 이에 빠르게 변해가는 금융환경에서 금융사무노동자에 대한 일자리 대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7일 오전 10시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추혜선 정의당 의원은 국회도서관에서 전국사무금융서비스노동조합과 공동으로 ‘핀테크 산업 확대와 사회적 대응전략모색을 위한 토론회’를 열었다.

이날 토론회에 참석한 추혜선 의원은 “금융 분야가 혁신환경에서 위기산업으로 지목되고 있는데 정부는 여전히 규제기관으로서 제대로 된 대응을 하지 못하고 있다”며 “정부는 광범위한 컨트롤타워를 설치해야 하며 앞으로 국회 상임위 차원에서도 활발한 논의를 하겠다”고 약속했다.

김현정 전국사무금융서비스노동조합 위원장은 ‘흑자구조조정’에 대해 언급하며 “지난 5년 동안 은행, 생보, 손보 ,증권, 카드 등 5대 금융권의 당기순이익은 어림잡아 세 배 이상 확대됐지만 불행히도 고용자 규모는 거꾸로 감소했다”고 지적했다.

이어 김 위원장은 “노동계와 정부, 그리고 기업이 함께 필요한 대응을 모색해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발표자로 참석한 황기돈 내일연구원 원장은 “지난 2008년 국제금융위기 이후 기존 금융시스템에 대한 불신 확대, 밀레니얼 세대 등장으로 금융 소비행태의 변화와 금융사의 판관비 절약 중심 등 이윤확대 전략으로 핀테크 시대가 개막했다”고 밝혔다.

황 원장의 설명에 따르면 현재 국내 금융회사들은 ‘수성전략’을 통해 디지털 혁신보다 디지털 상품의 개발, 프로세스 개선, 인력 및 점포 감축에 치중하고 있다.

실제로 신한금융과 KB금융은 각각 신한퓨처스랩, KB핀테크허브센터를 통해 디지털 조직과 부서를 구축했으며 AI, 로보어드바이저 등 신기술을 도입해 ‘신한AI’, ‘손바닥 정맥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한국씨티은행은 점포 감축, 모바일뱅크 강화 및 자산관리(WM) 전문 대형점포 구축을 통해 지난해 영업이익 3655억원, 당기순이익 3079억원을 기록하며 점포망 축소 이전인 2016년 보다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이 각각 954억, 1511억원 증가됐다.

황 원장은 “IT회사는 은행해체 전략에 나서며 독자적인 비즈니스 플랫폼 연결에 나서고 있다”며 “디지털화에서 은행의 경쟁자는 더 이상 신생 핀테크 기업이 아니라 구글, 아마존 등 빅테크(BigTech) 기업으로 생존을 건 경쟁에서 살아남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덧붙여 “기존 상업은행의 일자리는 감소하고 있지만 특수·신규은행의 증가 및 핀테크에서 파생된 일자리는 늘어나고 있어 일자리 양의 급변은 아직 관찰되지 않고 있다”며 “노조는 이윤이 아닌 노동 중심의 신기술 도입 모범사례 구축을 통해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접근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한편, 해외 선진국 가운데 핀테크 시장이 급성장 중인 독일은 금융보험산업 취업자가 2000년 128만명으로 정점을 찍은 뒤 감소세로 4차 산업혁명을 고려한 산업·업종별 장기 전망에서는 오는 2025년까지 120만명 수준을 유지하다가 2035년경 110만명 정도로 소폭 감소가 예상된다.

미국의 경우에는 2017년 취업자는 629만명이었으며, 2026년까지 연평균 0.6% 인원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지만, 2026년까지 은행에서 고객을 직접 만나는 창구직원은 8% 감소할 것으로 예측된다.

일본은 금융보험산업 취업자가 2017년 기준155만명으로, 2015년 대비 2030년 직업별 인원 증감 전망에서 금융보헙업의 고용인원이 1만 1000명 증가할 것으로 분석됐다.

김종진 한국노동사회연구소 부소장은 “금융산업이 최근 3~5년 사이에 혁명적으로 AI, ICT 도입으로 점포와 일자리가 감소하는 것은 아니고, 은행업 포화와 시장 경쟁, 수익구조 다변화 현상 등 산업구조와 경영전략에 요인이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김 부소장은 ‘포용적 로봇(inclusive robot)' 개념을 강조하며 “독일에서도 노동4.0 흐름과 맞물려 2015년 ‘서비스 디지털화 노사정 공동선언’과 ‘노정 공동선언’을 통해 디지털화 문제를 사회적 대화를 통한 접근도 병행하는 등 금융산업의 디지털화 흐름에 고용의 질 개선을 위한 노사정 논의와 대응방안을 모색하는 것은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장경운 금융감독원 핀테크혁신 실장은 “핀테크가 단순 이윤 추구에 머물지 않으려면 근로자 추천 이사제에 대한 사회적 합의 내지는 노력이 있어야 한다”며 “핀테크는 이윤 추구형이 아닌 기부형 또는 공익형 모델도 있어 그런 사례를 중심으로 긍정적인 시각에서 희망적인 사안을 찾아봐야 한다”고 전했다.

송현도 금융위원회 금융혁신 과장은 “산업 전체와 글로벌 관점에서 핀테크를 봐야 하며, 특정 나라나 특정 회사가 그 흐름을 막을 수는 없다”며 “그동안 소홀했던 핀테크 일자리 관련 교육을 내년 예산에 적극적으로 반영하는 것을 고민하고 있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금융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