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출규제·경기둔화 영향…지방은행 곳곳 연체율1% 속출
금융당국 “연체율 오름세지만 아직 심각한 단계는 아니야”

[FE금융경제신문=권이향 기자] 지방 경기 부진과 대출규제 확대 등의 영향으로 은행권 자영업자 대출 연체율의 움직임이 심상치 않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 1분기 주요 시중은행의 자영업자(개인사업자) 대출 연체율이 상승했다.

은행별로 살펴보면 하나은행과 농협은행의 연체율은 0.41%로 하나은행의 경우에는 전년 동기 대비 0.08%포인트나 상승했다.

그 뒤를 이어 국민은행(0.24%)·신한은행(0.23%)·우리은행(0.21%)은 비교적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했다. 다만 1년 사이에 국민은행의 연체율은 0.06%포인트 상승해 아직 안심하기에는 이르다.

같은 기간 상호금융 연체율은 0.74%에서 1.15%로 0.41%포인트 껑충 뛰어올랐다. 서민경제의 ‘바로미터’인 카드사 등 여신전문금융사 연체율은 2.04%에서 2.66%로 올랐다.

1개월 이상 연체된 대출채권의 비중을 뜻하는 연체율은 금융기관의 매각, 상각 등 정기적인 연체채권 처리로 연말에 낮아지고 연초에 높아지는 계절성을 띠고 있다.

하지만 작년 1분기 0.18∼0.37% 수준을 유지했던 시중은행 5곳의 연체율이 1년 새 0.21∼0.41%로 반등해 이번 연체율 상승은 계절성을 고려해도 심각하다는 우려가 잇따랐다.

이 같은 연체율 상승의 원인에 대해 금융당국은 대출규제 강화와 경기둔화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진단했다.

지난해부터 정부는 이자상환비율(RTI) 규제 도입 및 자금의 용도 외 유용을 점검하는 등 강도 높은 규제에 들어가며 자영업자 대출 관리에 나섰다.

통상 대출이 증가할수록 분모에 해당하는 대출 잔액이 커져 연체율이 하락한다. 그러나 지난 1분기 강도 높은 대출 규제로 대출 잔액이 적어져, 예년과 비슷한 규모로 연체 건수가 발생해도 연체율 자체는 올라갈 가능성이 높다.

금융권 일각에서는 대출규제보단 경기침체에 근본적 원인이 있다고 지적했다.

최근 지방경기 둔화의 영향으로 지방은행들의 연체율도 반등했기 때문이다. 부산은행은 지난해 3분기 0.96%로 올랐던 기업대출 연체율이 4분기 0.52%로 떨어졌지만, 전북은행의 기업대출 연체율은 지난해 4분기 1.02%를 기록했다.

기업대출뿐만 아니라 가계대출에서도 지방은행은 고전을 면치 못했다. 작년 말 부산은행과 광주은행의 가계대출 연체율은 각각 0.15%포인트, 0.12%포인트 상승한 0.43%, 0.28%로 조사됐고 경남은행의 연체율은 같은 기간 동안 0.24% 포인트 급등했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자동차·조선업 등의 영향을 크게 받는 지방경제의 경우 수도권보다 경기부진의 영향의 많이 받는 편으로 이에 따라 지방은행의 연체율도 높아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최근 (연체율이) 오름세를 보이고 있지만 그동안 매우 낮은 수준을 보이며 관리되고 있었기 때문에 아직은 심각한 단계는 아니다”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금융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