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사는 대기업과 인수·합병(M&S) 자문 초점... 중소형사는 중소기업과 부동산금융 더욱 집중
대형사 평균 자기자본 2008년말 2조3000억원에서 지난해 말 5조3000억원으로 2.3배 증가 2.3배

[FE금융경제신문= 김다운 기자] "2001~2018년 동안 증권회사의 자기자본은 꾸준하게 증가했다" "수익성 부분에서는 순영업수익 규모는 전체적으로 증가했으나 수익성은 낮은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조성훈 자본시장연구원 선임연구원은 14일 자본시장연구원과 한국증권학회, 한국증권법학회와 함께 여의도 금투센터에서 주최한 '자본시장법 10년의 평가와 과제' 세미나에서 이같이 밝혔다.

조 연구원에 따르면 자본시장법 시행 후 10년 동안 대형 증권사의 평균 자기자본이 2008년말 2조3000억원에서 지난해 말 5조3000억원으로 증가해 2.3배 늘었다는 분석이 나왔다. 또 대형사뿐 아니라 중소형사의 자기자본도 꾸준히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증권사들의 자기자본은 국민경제 대비 증가했으나 은행 대비로는 제자리라는 지적이다.

조 연구원은 "대형사의 자기자본 증가 속도는 2011년 종합금융투자사업자 제도 도입 논의가 시작된 후 가속화됐다"며 "특히 2016년 두 건의 대형 합병(미래에셋대우·KB증권)으로 대형사의 평균 자기자본이 많이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말 기준 미래에셋대우·KB증권·NH투자증권·한국투자증권·삼성증권 등 5대 대형사의 평균 자기자본은 중소형사 자기자본의 6배 규모다. 중소형사 역시 꾸준히 자기자본을 증가시켜 전체에서 5대 대형사의 자기자본이 차지하는 비중은 50% 안팎을 맴도는 걸로 나타났다.

조 연구원은 "국내총생산(GDP) 대비 자기자본 규모는 꾸준히 증가했으며 중소형사는 2009년 이전에 대형사는 2010년 이후에 증가했다"면서도 "시중은행 대비 증권회사 자기자본 규모는 2002~2006년 기간에 크게 감소한 이후 완만하게 회복되는 모습"이라고 언급했다.

조 연구원은 "국내 증권회사의 순영업수익 추이는 2013년 큰 폭의 감소를 경험한 후 회복한 뒤 2017년에는 최고치를 기록했는데 특히 5대 대형사의 비중은 35% 전후에서 등락하다가 2017년 45%, 2018년 47%로 급등했다"고 분석했다.

이어 "자기자본이익률(ROE)은 2005년을 정점으로 지속해서 하락했으며 2013년에는 거의 제로 수준으로 떨어진 후 회복하기 시작했다"며 "이 기간 대형사와 중소형사의 ROE는 거의 동일한 추이를 나타내 수익성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수익구조면에서는 위탁매매 부문의 비중이 꾸준하게 감소하고 투자은행과 자기매매 부문의 비중이 증가한 걸로 집계됐다.

2002년 70%를 웃돌던 위탁매매 부문의 비중은 2018년 40% 수준으로 축소됐다. 반면 투자은행(IB)부문의 비중은 2008년 6.8%에서 2018년 19.7%로 확대됐다. 특히 이 비중은 중소형사에서 더욱 크게 늘었다고 조 연구원은 설명했다.

조 연구원은 "대형사와 중소형사는 각각 상이한 IB 업무에 특화됐는데 대형사는 대기업과 인수·합병(M&S) 자문에 초점을 맞추고 중소형사는 중소기업과 부동산금융에 더욱 집중한 모습"이라고 분석했다.
 

저작권자 © 금융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