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자금 마련 위해 결혼·출산 뒤로 미뤄 … 연금 축척시기도 늦춰져
이전 세대와 양상 달라지는데 대책은 적어 … 지금과 같은 관점으론 연금 무의미

[FE금융경제신문=장인성 기자] 최근 퇴직연금 수익률에 대한 관심을 높아지며 다양한 수익률을 올리기 위한 방안들이 쏟아져 나오고 있지만 지금부터 돈을 모으고 있는 미래 세대들의 연금 수익을 올리는 데에 대한 고민이 작다는 지적으로 보험업계가 관련 상품을 준비해야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 부채도 없지만 돈도 없다 … 퇴직연금 축적도 어려워

23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지금의 퇴직연금이 현재 4050세대에 맞춰져 있어 현재 2030세대들의 니즈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이에 따라 관련 상품과 요구를 충족할 만한 상품을 보험업계가 출시해 대비해야 한다는 목소리다.

업계의 이 같은 지적은 한국과 비슷한 경제 구조를 가지고 있는 미국도 크게 차이를 두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지난 2017년 미국의 밀레니얼 세대들의 평균 부채를 조사한 결과 4만 4000달러에 불과했지만 지난 2004년에 2030대였었던 1969~1979년생들의 평균 부채는 약 4만 9000달러에 달해 이 두 세대들의 평균 부채가 5000달러 이상 차이나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 차이가 중요한 이유는 1969~1979년생들에게 부채는 주택 마련처럼 자산을 늘릴 수 있는 부채 비중이지만 1980~2004년생들의 부채는 대부분 학자금 대출에 기인한 것으로 드러났다는 점이다.

문제는 이들이 30년 뒤인 2050년엔 대다수가 50세를 넘기면서 자연스럽게 은퇴를 하게 되지만 자산을 축적하려해도 학자금 대출을 갚아야 해 저축 시점도 뒤로 밀려 저축을 할만한 시간이 턱없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고스란히 이들은 현재 은퇴자들과 완전 다른 모습으로 살아갈 것인데 이 불확실성을 현재 보험업계에선 가장 우려하는 상황인 셈이다.

현재 1980~2004년 세대들은 과거 세대들과 달리 부채가 적다. 그러나 동시에 자산도 많지 않다. 학자금 대출금을 갚기 위해 주택 구입이 미뤄지고 동시에 결혼과 출산도 미뤄지는 삼중고인 셈이다.

젊은 층의 순자산 중간 값 (1989~2016)출처 - 보험연구원
젊은 층의 순자산 중간 값 (1989~2016)
출처 - 보험연구원

미국 Fed의 조사한 바에 따르면 1960~1970년생들의 순자산 중간값은 3만 달러를 초과했고 1972~1982년생들의 순자산 중간값은 2만 5000달러에 그쳤다. 그러나 이후 세대는 같은 연령대의 순자산이 최소 2만 달러 이하로 떨어지고 있다고 보고했다.

주로 이들이 취업하려 했던 지난 2007부터 2009년엔 세계 금융위기 여파로 취업하기 어려웠던 만큼 직장 안정성·퇴직연금 수준이 이전 세대보다 낮은 수준으로 일하게 된 원인이 큰 것으로 보인다.

◇ 금융지식 부족한데 확정기여형 퇴직연금 시대 … 리스크 부담 커 운용 수익률 낮아

그나마 1980~2004년생들은 어렵게 대학까지 진학해 공부한 만큼 이전 세대와 달리 자연스럽게 고액연봉자가 늘어나 정년이 연장 돼 저축할 기회가 증가한다는 전망이 나온다는 점이다.

물론 변수는 안정적인 정규직 근로를 하는 노동자에 국한 된 내용으로 현실은 이를 반영하지 못할 것으로 보인다. 이는 지난 2008년 세계 금융위기 여파로 비정규직이 빠르게 늘어났다는 사실 때문이다.

문제는 또 있다. 확정기여형 퇴직연금 운용을 할만큼 일반인들의 금융지식 역량이 높은 게 아니라서 리스크가 적은 안정성에 치우치면서 지속적으로 낮은 수익률을 받게 된다는 점이다. 그게 아니라면 확정기여형처럼 직접 퇴직연금 운용을 하는 방법이 있지만 리스크 위험 부담이 매우 크다.

이는 운용 실적과는 무관하게 일정 금액의 연금을 보장받았던 과거 세대와 달라지는 부분이다.

이에 대해 보험연구원 이아름 연구원은 “현재 2030세대들이 연금을 받을 때엔 퇴작연금 운용 리스크 증가와 더불어 기대수명마저 늘어나고 있을 때”라며 “이를 대비하기 위해선 이들의 금융지식을 축척해 대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국가와 보험업계가 이들이 효율적으로 퇴직연금을 마련할 수 있도록 다양한 방법을 고안해 내야 한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금융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