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화 가속으로 판매 늘어야 하지만 되려 감소 … IFRS17 시행 시 부채로 평가
최저보증이율이나 변액보험으로 활로 열어야 … 다양한 투자상품 개발도 필요

[FE금융경제신문=장인성 기자] 다른 나라보다 훨씬 빠르게 고령 사회로 진입하고 있는 가운데 상품 공급이 확대되어야 할 연금 보험의 가입자는 보험업권이 받게 될 규제 영향으로 되려 더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나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12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턱없이 낮은 공적연금과 인구구조 및 가구구조 변화가 연금보험에 대한 수요가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지만 아이러니하게도 최근 보험업권 연금보험의 신규 판매는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고 전했다.

연금보험 종목별 초회보험료 추이출처 - 각 보험사 업무보고서, 보험연구원
연금보험 종목별 초회보험료 추이
출처 - 각 보험사 업무보고서, 보험연구원

실제 지난 2014년 이후로 연금보험의 초회보험료는 7조 359억원을 기록한 이후 2015년엔 6조 5590억원 2016년엔 그의 절반인 3조 33486억원으로 확 줄어들며 지난 2014년부터 2018년까지 증가율이 마이너스 68.5%를 보여줬다.

매년 가입자가 절반 이상으로 지속적으로 감소하다 못해 연금보험 자체가 축소된다고 봐도 무방할 정도로 판단된다. 이처럼 보험사들의 연금보험 판매가 크게 감소한 원인에는 연금상품 공급이 충분하게 공급하지 못한 것도 한 원인으로 제시되고 있다.

이는 연금보험을 포함한 장기 저축성 보험이 새 회계기준인 IFRS17에서 자본도 아니고 부채로 잡혀 오히려 팔면 팔수록 보험사들 입장에서는 부채만 늘리는 꼴이 되기 때문이다. 특히 최저보증이률을 제공하는 저축성 상품 비중이 높을 경우 자본변동성이 크게 확대될 수 있다.

게다가 금융당국에서는 IFRS17를 대비할 목적으로 신지급여력제도 K-ICS 도입을 저울질 하는 중인데 이곳의 리스크 측정 방식에 장수위험을 새롭게 도입하면서 연금보험의 추가적인 요구 자본을 제시하면서 결국 또 부담으로 작용하게 됐다.

이에 생보사들은 IFRS17에 대비하기 위해 연금보험과 같은 장기저축성 보험 상품 비중을 축소는 하되 보장성 보험과 변액보험에 확대를 꾀하고 있는 것도 이 같은 맥락인셈이다.

공적연금으로 충분히 노후 생활의 안정을 주기란 한계가 분명하다. 그렇다는 것은 사적 연금보험이 보다 다양한 포트폴리오를 구성해 확대를 노리는 것도 방안이 된다는 이야기다.

앞으로 연금보험 상품을 확대하려면 최저보증이률 인하와 같은 전략적 리스크 관리를 보다 강화하고 변액연금 등 투자형 상품을 확대해 다양한 상품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 것이 어느 때보다 중요해지는 시기라고 볼 수 있다.

이에 보험업계 관계자는 “보험사는 전략적 리스크 관리와 투자형 상품을 확대하고 상품에 대한 포트폴리오를 통해 분산 투자하는 등 리스크 경감 노력이 필요하다”며 “당국도 단순히 규제만 할 것이 아니라 이를 지원해 소비자들의 노후소득 보장을 위한 선택권을 주거나 원할한 상품공급이 이뤄지도록 유도를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금융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