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투자업계, "일본 정부 조치에 따른 메모리 반도체 업황 영향 크지 않을 것"
반도체 소재 부문 주요 제조사 국산화 추진해오고 있었다.
일본 언론들 일본 기업들의 주요 고객인 한국 기업 이탈 우려

 

[FE금융경제신문= 김다운 기자]  일본의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소재 수출 규제 발표가 엄청난 후폭풍을 몰고 오고 있다. 증권시장에서는 이번 일본 정부의 조치에 따른 메모리 반도체 업황 영향은 미미하다는 진단이다. 메모리 반도체의 경우 국내 업체 점유율이 절반을 넘어섰기 때문이다.

4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일본 정부의 조치에 따른 메모리 반도체 업황 영향은 크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오히려 반도체 소재 부문에서 주요 제조사가 국산화를 추진해오고 있는 만큼 성장성 측면에서 긍정적이다. 다만 비메모리 반도체는 타격을 받을 수 있다고 우려했다.

앞서 지난 1일 일본 경제산업성은 이날부터 반도체·디스플레이 핵심 소재인 ▲플루오린 폴리이미드 ▲포토레지스트 ▲에칭가스 등 3개 품목의 수출 심사를 강화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우선 수출 관련 제조 기술 이전을 포괄적 허가 대상에서 개별 심사 대상으로 바꾼다. '제3의 국가'(화이트국가·우방국) 카테고리에서 한국을 제외할 수 있다는 규제 사항도 검토 중이다

다만 메모리 반도체 분야에서 국내 업체의 점유율이 디램(DRAM)은 73%, 낸드(NAND)는 46%라는 점이 관건이다. 국내 업체 비중이 높은 만큼 수출 규제로 양산에 차질이 발생했을 때 가격을 높여 출하량 감소분을 만회하는 게 가능하다.

키움증권 박유악 연구원은 "이번 조치로 해당 품목을 높은 가격에 수입하게 될 수도 있다"며 "하지만 총 원가 내 비중이 매우 작기 때문에 수익성 측면에서의 부정적인 효과도 거의 없다"고 진단하고 "비메모리 반도체는 삼성전자는 파운드리 사업 확대를 위해 하반기부터 극자외선(EUV)용 포토레지스트를 일본으로부터 전량을 수입해야만 하는 상황"이라며 "비메모리 반도체는 타격을 받을 수 있다"고 언급했다.

즉, 일본의 수출 제한이 발생한다면 고객 확대를 앞둔 삼성전자의 파운드리 부문 영업에 차질이 발생할 가능성이 존재한다는 뜻이다

반면 반도체 소재는 중장기 성장성 측면에서 매우 긍정적이라고 박 연구원은 평가했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첨단 공정에 대한 기술 보호'와 '소재의 원활한 공급'을 목적으로 반도체 소재에 대한 국산화를 추진해오고 있기 때문이다.

관련업계에 따르면 포토레지스트의 경우 불화아르곤(ArF), 불화크립톤(KrF)은 규제 대상이 아니다. ArF 레지스트는 최신 노광장비에 사용되며 주로 D램과 로직 반도체 공정에 쓰인다. KrF 레지스트는 구형 노광장비에 사용되는 제품으로 미세 노광이 필요 없는 3D 낸드플래시 공정에 주로 사용되지만 국내 업체가 이미 상당량을 제조하고 있다.

박 연구원은 "이번 사태는 15% 수준에 불과한 반도체 소재의 국산화율을 더욱 빠르게 끌어올리는 촉매제가 돼 관련 업체들의 중장기 성장성을 크게 높여줄 것"이라고 내다봤다.

NH투자증권 도현우 연구원도 "일본 정부의 조치는 국내 반도체 생산에 전혀 영향을 주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며 "3D 낸드플래시와 D램 반도체 공정에 주로 사용하는 ArF과 KrF 빛의 파장은 193nm(1nm는 10억 분의 1m)와 248nm로 규제 대상에 해당되지 않고 193nm 미만의 파장의 빛에 최적화된 레지스트만 규제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이번 규제 시행을 두고 일본 내부에서 일본 기업들의 주요 고객인 한국 기업들의 이탈에 우려하는 목소리도 존재한다. 무엇보다 이번 조치가 일본 기업에게도 피해가 될 수 있다는 점은 공통으로 지적받는 사항이다.

도 연구원은 "일본 내에서 이런 목소리가 나오는 이유는 자국 기업이 피해를 볼 수 있다는 점 때문"이라며 "강경한 어조의 산케이신문조차도 '일본의 수출 기업에도 영향을 미치겠지만'이라는 표현을 통해 일본 기업의 피해가 불가피하다는 점은 인정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금융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