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6월 고용지표 예상 보다 높게 나오면서 연방준비제도 금리 인하 시기, 인하폭 조절 우려
연준의 금리 인하 늦어질 경우 한국은행도 기준금리 인하 늦출 수 있어
투자자들 안전자산 선호 경향 현재보다 더욱 커질 가능성
국내 증시 더욱 하방 압력 받아 증권사 실적에도 악재

 

[FE금융경제신문= 김다운 기자] 미국의 6월 고용이 양호한 것으로 나타나면서 금리 인하에 대한 불확실성이 커져 국내 증권시장에 빨간불이 켜졌다.

미국의 6월 고용지표가 예상치보다 높게 나오면서 미 연방준비제도(연준·Fed)가 금리 인하 시기 또는 인하폭을 조절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는 것이다.

미 연준의 금리 인하가 늦어질 경우 한국은행도 기준금리 인하를 늦출 수 있어 투자자들의 안전자산 선호 경향이 현재보다 더욱 뚜렷해질 가능성도 크다. 또 국내 증시가 더욱 하방 압력을 받아 증권사 실적에도 악재가 될 수 있다는 관측이다.

미 연준의 금리를 언제 내릴 지, 내린다면 어느 정도까지 인하할 지 여부와 한은이 미 연준의 금리 인하에 발맞춰 기준금리를 내려 국내 증시도 상승세를 탈 수 있을 지 증권업계의 관심이 높은 이유다.

9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미국 노동부는 지난 5일(현지시각) 미국의 정부 및 비농업 민간기업이 6월에 22만4000개의 새 일자리를 추가했다고 발표했다.

6월의 22만4000개 고용증가는 5월까지 올 미국 월간 평균증가 규모 16만4000개를 크게 웃도는 수치로 직전달 7만2000개와 비교할 때 3배 이상 껑충 뛴 것이다.

예상을 웃도는 호조의 6월 고용증가로 7월31일 미 연준이 단행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던  0.5% 포인트 금리 인하 방침이 다소 애매해진 것도 사실이다.

일단 오는 10일(현지시간) 발표되는 6월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의사록에 담긴 연준 위원들의 코멘트가 더욱 중요질 것으로 예상된다.

탄탄한 고용지표를 바탕으로 0.5%포인트 금리인하 가능성이 사실상 사라졌다면 이달말 또는 다음달에 0.25% 포인트 금리인하 전망은 가능한 지 여부를 살피는 척도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 파월 의장이 오는 9일 연준 포럼에서 개회사를 실시하고 10~11일에 미 하원과 상원에서 통화정책 관련 증언을 하면서 어떤 발언을 할 지 여부도 관심사다.

파월 의장이 그동안 연준이 금리인하 가능성을 시사하면서 언급했던 세계 경제둔화 및 미중 무역전쟁에 대한 불확실성은 바뀐 게 없지만 연준의 금리인하 방침이 여전한 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국내 증권가에서는 0.25% 포인트 금리인하는 무난할 것이라는 예상이 우세하다. 파월 의장이 그동안 금리인하 가능성을 언급하면서 근거로 삼았던 것이 일자리 감소 등 경제수치 둔화에 따른 미국 경기하강이 아니기 때문에 급격한 입장 선회를 하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다.

대신증권 공동락 연구원은 "미국 6월 고용 지표로 견조한 미국 경제의 펀더벤털 여건을 재확인했다"며 "이에 따라 일각에서 기대했던 50bp 이상 큰 폭의 기준금리 인하보다는 25bp 인하에 대한 전망이 좀 더 설득력을 얻을 전망"이라고

이어 "이에 따라 향후 진행될 것으로 보이는 연준의 기준금리 인하 역시 한 번에 50bp 이상의 큰 폭보다는 25bp 정도에 그칠 것으로 예상한다"며 "기준 금리 인하가 개시되는 시기로는 올해 3분기를 시작으로 내년 상반기까지 총 4회 가량의 인하를 전망한다"고 말했다.

KB증권 김두언 연구원은 "미국의 6월 고용지표가 호조를 보였지만 예상보다 부진한 ISM 지수와 내구재 수주 등 경기 불확실성과 장단기 금리차 역전으로 인한 미국 경기 침체 우려도 존재한다"며 "이런 점을 고려하면 연준의 7월 금리 인하는 여전히 유효하지만 50bp 인하보다는 25bp 인하가 현실적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저작권자 © 금융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