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5세 이상 고령층 매수 비중 45.7%… DLF 매수자 10명 중 2명 ‘안정투자’선호
우리·하나銀 분쟁조정 신청 60여건 접수…불완전 판매 입증 여부 중요 쟁점 돼

[FE금융경제신문=권이향 기자] 대규모 원금 손실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논란이 일고 있는 해외금리 연계형 파생결합증권(DLS)·파생결합펀드(DLF) 중 절반 가까이가 65세 고령층을 대상으로 판매된 것으로 드러났다.

26일 우리은행과 KEB하나은행이 정무위 소속 지상욱 바른미래당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 19일 기준 우리은행이 개인투자자에게 판매한 독일 국채 10년물 금리 연계 DLF 잔액은 총 934억원이었다.

하나은행의 경우에는 16일 기준 영국·미국 이자율스와프(CMS) 금리 연계 DLF 잔액 3488억원을 개인에게 판매했다.

두 은행이 개인투자자에게 판매한 독일 및 영국·금리 연계 DLF 상품 총 판매량은 4422억원으로, 이 가운데 65세 이상 고령층의 매수 비중은 45.7%(2020억원)에 육박했다.

판매 금액의 절반 가까이를 고령층에게 팔았다는 것으로 2043명의 투자자 중에서도 고령층 고객은 768명인 것으로 조사됐다. 즉 해당 상품에 투자한 개인 고객 10명 중 4명이 문제의 상품을 보유하고 있다는 것이다.

통상적으로 65세 이상 등 고령층은 고위험 상품 판매에 부적합하다는 평가를 받는다. 금융지식이 부족한 탓에 파생금융 상품에 대한 이해도가 떨어질 수밖에 없고, 원금 손실이 클 경우 노후자금이 위태롭게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더욱이나 이번 경우에는 두 은행의 DLF 매수자 10명 중 2명이 이런 고위험 상품에 투자를 해본 적 없는 안정 성향인 것으로 조사됐다.

금융감독원과 금융투자협회가 발표한 ‘금융투자상품 판매 관련 고령투자자 보호방안’에 따르면 고령층 고객에게 유의상품을 판매할 때 PB를 포함한 관리직 직원은 투자자의 상품에 대한 지식수준, 재산 상황, 건강 상태 등을 충분히 파악해야 한다.

그러나 이번 DLF 사태에서는 이러한 고령투자자 보호 장치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았으며, 투자 경험이 부족한 고령자를 대상으로 상품 권유 및 판매가 이뤄진 것으로 의심되는 정황이 드러났다. 이 때문에 불완전 판매 논란이 쉽게 사그라들지 않을 전망이다.

현장 검사와는 별개로 금감원은 오늘(26일)부터 금리연계 파생결합펀드, DLF를 놓고 은행과 투자자들의 분쟁조정을 위한 조사를 시작한다. 금감원에 따르면 DLF 주요 판매 창구인 우리은행과 하나은행의 불완전판매를 주장하는 분쟁조정 신청은 60여건 접수된 것으로 전해졌다.

이번 분쟁조정에서는 투자자에게 상품의 위험성을 제대로 알리지 않았다는 불완전 판매를 입증한 것이 중요 핵심으로 떠올랐다.

이르면 다음달 분쟁조정위원회에 두 은행의 DLF 불완전판매 안건을 상정할 계획이며, 분쟁 조정과정에서는 통상 상품 판매의 적정성, 적합성, 부당권유 등 3가지 부분을 집중적으로 체크할 예정이다.

지상욱 의원은 “은행이 원금을 모두 날릴 수 있는 위험이 큰 파생상품을 파는 것은 크게 잘못된 것”이라며 “불완전 판매로 확인이 되면 분쟁조정위원회를 열어 고객의 자산을 최대한 지킬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금융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