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 제조기업 수, 자동차운송 부문 9.2%, 전자 11.6%, 기계 22.0% 감소
자동차운송, 전자, 기계 부문 수출기업 수, 9.2%~22.0% 감소
한국 총 생산 0.42%, 무역수지 275억 달러까지 감소 가능
"안정적 글로벌 가치사슬 확립 위한 전략적 산업 육성 정책 필요"

[FE금융경제신문=정순애 기자] 지난 4월부터 무역협상을 진행해 온 미일 양국이 조만간 큰 틀의 합의를 이루기로 한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한국 경제에도 영향을 미쳐 미일 무역협상 타결시 수출기업 수 감소 우려 등 어려움이 가중될 수 있을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한국경제연구원(이하 한경연)은 미일 FTA가 한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를 통해 일본의 한국 수출규제 및 화이트리스트 배제 조치 단행 등으로 일본 관련 국제 통상환경이 급변하고 있다며 미일 FTA 체결의 제반 파급효과를 시나리오별로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날 가능성이 있다고 16일 밝혔다.

이번 보고서에 따르면 최신의 내생적 기술진보 효과를 반영하는 다지역, 다부문 글로벌 CGE 모형 분석을 통해 미일 FTA 체결의 제반 파급효과를 시나리오별로 파악했다.

각 시나리오는 시나리오 1의 경우 일본은 미국산 농산물 수입관세를 50% 인하하고 미국은 일본산 자동차/부품 수입관세를 50% 인하(SCN1), 시나리오 2는 미일 상호 간 전 부문 수입관세 50% 인하(SCN2), 시나리오 3은 미일 상호 간 전 부문 수입관세 100% 철폐(SCN3) 등이다.

한국경제연구원(이하 한경연)이 분석한 '미일 FTA가 한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의 시나리오별 한국 제조업 수출기업 수 변화.
한국경제연구원(이하 한경연)이 분석한 '미일 FTA가 한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의 시나리오별 한국 제조업 수출기업 수 변화.

각 시나리오별로 한국 제조업의 수출 기업 수 변화를 추정한 결과 미국과 일본이 상호 농산물과 자동차 시장 개방 확대를 주고 받는 제한적 수준에서 무역협정을 체결할 경우(SCN1) 한국 자동차운송 및 전자 부문의 수출기업 수는 제한적으로 각각 1.6%, 1.3%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미일 무역협정이 상호 전 부문 관세 인하 및 철폐로 확대될 경우 한국 자동차운송 및 전자 부문의 수출기업 수 감소는 더욱 확대돼 시나리오2에서 각각 2.8%, 6.8% 내려가며, 시나리오3에서는 각각 9.2%, 11.6%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일 상호간 전 부문 관세 철폐(SCN3)시 한국 기계 부문 수출기업 감소도 크게 나타나 22.0% 하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철강금속 부문의 경우 전 시나리오에 걸쳐 수출기업 수가 증가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각의 경우 한국 총 생산 및 무역수지 효과는 전반적으로 미일 FTA 체결에 따른 한국 총 생산 및 무역수지 감소 효과가 예상됐다.
                   
전체 산업 총 생산 감소효과는 제한적으로 나타나 미일 상호간 전 부문 관세 철폐(SCN3)시에도 0.4% 감소하는데 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무역수지는 275억 달러까지 악화가 예상됐다.

각 산업별 효과는 분야별로 크게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시나리오3의 경우 축산낙농, 자동차운송, 전자, 기계, 기타제조 부문의 총 생산은 감소하는 반면 기타1차, 석유화학, 철강금속, 서비스 부문의 총 생산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무역수지는 석유화학 및 철강금속 부문을 제외한 전 부문의 무역수지가 악화될 것으로 파악됐다.

기계 부문의 무역수지 감소효과가 가장 크게 나타나 306억 달러의 무역수지 악화효과를 보였는데 미일 FTA와 한일 무역분쟁 진행상황에 따라 전략적인 산업별 지원 및 육성 정책이 필요할 것으로 관측됐다.

이번 연구를 진행한 정재원 연구위원은 “미국이 최근 일본의 對한국 수출규제와 관련해 관망세를 유지하는 이면에는 미일(美日) 무역협상을 진행하며 어느 정도 양국이 암묵적인 합의를 이뤘을 가능성이 있다. 미일 무역협정과 일본 수출규제를 동일선상에 놓고 앞으로 추이를 봐가며 전략적인 대응을 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이어 “미중 무역전쟁이 장기화 될수록 미국의 암묵적인 관망 속에 한일 무역분쟁도 장기화될 가능성이 크다. 단기적으로 일본과의 무역 분쟁 폐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국제사회와 연대를 통한 외교적 협상 노력을 지속하되 중장기적으로 안정적인 글로벌 가치 사슬 확보를 위해 핵심 소재 수입선 다변화, 소재부품 자립화 등 관련 산업을 집중 육성하는 투트랙 전략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금융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