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일 서울역 회의실에서 '우리·하나은행 DLS 피해자 대책위원회' 발족식 진행
금융정의여대 등 시민단체들과 손잡고 고소 고발이나 항의 등 전개 계획

 

[FE금융경제신문= 정성화 기자] 해외금리 연계 파생결합상품(DLS·DLF) 사태가 눈덩이 처럼 커지고 있다. 피해자로 구성된 대책위원회가 첫 발족했다. 약 100명으로 구성된 위원회는 고소 고발이나 항의 방문 등 공동행동을 벌이며 DLS 피해자들의 구심점 역할을 할 예정이다.

지난 20일 DLS 피해자들은 서울 중구 서울역 회의실에서 '우리·하나은행 DLS 피해자 대책위원회'를 열고 발족식을 진행했다. 이날 회의에는 피해자 약 20명이 참석해 DLS 대책안을 토의하고 앞으로의 운영 방안 등에 관해 논의했다.

피해자 대책위원회는 카카오톡 단체채팅방을 중심으로 모인 피해자들이 좀더 체계적인 공동행동을 벌이기 위한 목적으로 구성한 첫 피해자 단체다. 앞선 19일에는 우리은행 위례지점을 항의방문하기도 했다.

위원회는 금융 시민단체와 손을 잡고 각종 고소와 고발 활동에 나선다. 금융정의연대와 함께 다음달 17일까지 고소에 참여할 피해자들을 모집한다.

오는 24일과 26일 또다른 DLS 만기가 도래하는 만큼 피켓팅 시위도 이어나갈 예정이다. 25일과 26일 금융감독원 정문에서 출근길과 점심시간 릴레이 피켓팅 시위가 계획돼 있다.

대책위는 피해보상 요구에 그치지 않고 구조적인 제도개선을 이뤄야 한다는 입장이다. 키코 사태 등 연이은 금융권 불완전판매를 해결하기 위한 법안 등을 국회와 금융당국 등에 요청할 것으로 보인다. 임원을 맡기로 한 투자자 김주명씨는 "그냥 보상을 받는데 그친다면 우리 자식이나 그 다음 세대까지도 똑같은 일이 대물림 될 수 있는 것 아니냐"고 말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피해자들이 서로 피해경험을 나누고 토로하는 시간을 갖기도 했다. 한 피해자는 "노후자금을 8000만원이나 날렸다"면서 "나이가 들어서 식당 알바로도 써주지 않는데 어떻게 이럴수가 있나"라고 하소연했다.

금감원에 따르면 지난달 기준 DLS와 DLF 판매잔액은 총 8224억원 수준이다. 지난 19일 우리은행에서 첫 도래한 134억원 규모의 DLF 만기 손실율은 60.1%다.

회사별 판매규모는 우리은행(4012억원), 하나은행(3876억원), 국민은행(262억원), 유안타증권(50억원), 미래에셋대우증권(13억원), NH증권(11억원) 순이다.

저작권자 © 금융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