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훈 의원 "화재사고 26건 중 14건, …신뢰·세계시장 점유위해 자발적 리콜해야"

[FE금융경제신문=정순애 기자] 전국에 설치된 에너지저장장치(ESS)에서 발생한 화재 절반 이상은 LG화학이 특정 시기에 생산한 배터리를 사용했다는 주장이 나왔다.

7일 이훈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에서 관련 자료를 분석한 결과 국내에서 발생한 ESS 화재는 지난 2017년부터 총 26건으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LG화학 제품 14곳, 삼성SDI 제품 9곳, 인셀 등 군소 업체 제품 3곳 등의 순으로 집계됐다. 

LG화학 배터리는 지난 2017년 중국 난징공장에서 생산한 초기 제품이 모두 문제가 된 것으로 파악됐으며 대책 발표후 화재가 난 3곳 중 2곳도 동일한 배터리를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ESS는 전국 200여곳 정도 LG화학의 해당 배터리를 사용한 것으로 파악됐다.

지난해 12월27일 조사위(전문가 19명 구성)도 LG화학 일부 셀에서 극판 접힘, 절단 불량, 활물질 코팅 불량 등 제조 결함이라고 주장했다. 

하지만 5개월간 조사에서는 결함을 모사한 셀로 시행한 충·방전 시험을 180회 이상 반복, 자체 발화로 이어질 가능성 있는 배터리 셀 내부 단락(합선 등 이유로 과다한 전류가 흐르는 현상)이 없어 해당 배터리를 화재의 직접 요인으로 판단하지 않았다.

이를 두고 삼성SDI에는 배터리 수거 및 교체 요청을 하지 않았던 것과 달리 LG화학 배터리 문제가 있다며 정부 차원에서 리콜을 촉구해야 한다는 민·관합동위 위원들 간 주장도 있었던 것으로 뒤늦게 알려졌다.

이 경우 교체비용은 전국에 설치한 ESS 및 해외 설비까지 약 1500여억 원으로 점쳐졌다.

이에 LG화학은 자체 정밀실험에 착수, 오는 12월까지 실험후 원인분석을 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반면 삼성SDI가 설치한 전국 ESS는 2014년 3분기(1건), 2015년 3분기(1건), 2015년 4분기(1건), 2016년 4분기(1건), 2018년 2분기(4건) 등 총 9건 화재 발생에서 제조일자가 다양한 것으로 조사됐으며 삼성SDI 측도 의원실에 "우리 제품이 들어간 에너지저장장치 화재사고는 외부에서 유입된 초고압 전류 등에 대한 보호시스템 미흡, 설치 부주의 등이 주원인이었다"고 설명한 것으로 밝혔졌다.

이훈 의원은 "특정시기에 생산된 관련 배터리가 전국에 198개소나 더 있다. 지금이라도 자발적 리콜을 진행하는 것이 신뢰와 세계시장 점유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금융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