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종원 은행장 임명, ‘법적 문제 없다’ 이외 정당성 찾기 어려워
국회 계류중인 ‘중소기업은행법’개정안 통과로 향후 투명성 확보해야

김용오 편집인

[FE금융경제신문] IBK기업은행 26대 은행장으로 임명된 윤종원 전 청와대경제수석비서관이 은행노조의 출근저지투쟁으로 3일 첫 출근을 못하고 은행 본점 문앞에서 돌아섰다. 노조와 직원들은 "퇴직 관료의 낙하산 인사"라고 '자진사퇴"를 요구한다. 윤 은행장 본인은 "낙하산 주장에 동의하지 않는다"고 말한다. 청와대는 "문재인 정부의 국정철학을 잘 이해하는 인물로서 적임자"라고 밝혔다.

1962년 설립된 IBK기업은행의 역대 은행장은 기재부, 한국은행, 금융감독원 출신이 독차지했다. 국책은행이기 때문이다. 은행에 입행해 올라갈 수 있는 최고 자리는 부행장까지였다. 자행출신 은행장 배출이 IBK기업은행 임직원들의 소망이었다. 그러던 즈음 금융자율화 등 시대적 분위기, 정치적 환경 변화에 힘입어 23대 조준희 은행장, 24대 권선주 은행장, 25대 김도진 은행장으로 이어지는 10여년간 내부출신 은행장 시대를 이어왔다.

그 맥이 끊어진 것이다. 지난해 12월 27일 김도진 전 은행장의 임기만료를 한참 앞두고 금융계에는 김 전 은행장의 "연임은 불가... 관료 출신 낙하산 인사說'과 함께 구체적인 후임 하마평이 나돌았다. 이어 현 은행장 퇴임 20여일 전에는 후임이 발표된 관례와 달리 후임이 정해지지 않아 은행장대행체제라는 전대미문의 상황이 연출됐다. 그리고 당초 강력한 후보였던 반장식 전 청와대초대일자리수석이 탈락되고 윤종원 전 청와대경제수석비서관으로 낙점된 것이다. 후임 은행장 인물이 바뀌고, 임명이 늦어지는 등 일련의 상황을 미루어 볼 때 청와대의 속사정은 알리 없지만 순리적이지 않다는 느낌이 강하다. 문재인정부의 '논공행상' 위한 자리 만들기라는 비판에서 자유롭지 못한 까닭이다.

국책은행인 IBK기업은행의 은행장은 정부의 몫이다. 자행출신이든 외부인물이든 법적 하자는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어째서 '낙하산 인사'라는 비판과 함께 임명 철회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은 것일까?

윤 은행장을 '만든(?)" 사람들에게 묻고 싶다. 지금 IBK기업은행이 외부 인물 수혈이 필요할 만큼 경영상 긴급한 문제가 있는가? 금융업 경험이 전무한 인물이 "문재인 정부 국정철학을 잘 이해한다"는 것으로 대형은행 수장이 되고 10여년 자행출신 내부승진 전통을 깨뜨릴 만큼 의미가 있을까?

이번 IBK기업은행장에 전 청와대 출신 인사가 선임된 것은 법률적으로 "문제가 없다" "낙하산이냐 아니냐" 하는 차원의 문제가 아니다. 지난 10년간 내부 출신 은행장들은 큰 문제나 잡음 없이 질적,외형적으로 꾸준히 발전시켜 왔다.

이번 외부 인물 은행장 선임으로 인해 IBK기업은행 직원들의 사기는 땅에 떨어질 것이다 "열심히 일하면 나도 은행장까지 올라갈 수 있다는 희망의 사다리가 끊어진 것이나 마찬가지"라는 직원의 씁쓸한 토로가 바로 그것이다.

이제부터라도 IBK기업은행장 선임 절차의 투명성과 정당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개선해야 한다. 2017년 금융행정혁신위원회는 지금과 같은 기업은행장 선임 절차를 개선하도록 권고한 바 있다. 현재 국회에는 기업은행장에 대해서도 임원추천위원회 절차를 거치도록 하는 '중소기업은행법' 개정안이 2년이 넘도록 계류 중이다.

 

저작권자 © 금융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