둘 다 2019년부터 필수 가입해야 하는 의무보험 지정 … 매년 가입해야 해
승강기 보험은 건물 관련 기업보험 밀접 연관 … 사이버보험은 B2B 시스템이라 어려워

사진=금융경제신문
사진=금융경제신문

[FE금융경제신문=장인성 기자] 손해보험업계가 신규 먹거리 찾기에 혈안이 되고 있는 와중에 지난 2019년부터 의무보험 가입 대상으로 지정 된 승강기보험과 사이버보험에 대해 바라보는 시각이 달라 이유에 대해 궁금증이 증폭되고 있다. 승강기 보험의 갱신 주기가 돌아오면서 손보사들은 승강기 보험 고객 유치전에 열을 올리는 모습이지만 사이버보험에 대해서는 별다른 대응이 없어 보이기 때문이다.

◇ 둘 다 2019년부터 필수 가입해야 하는 의무보험 지정 … 매년 가입해야 해

9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승강기사고배상책임 보험에 대한 대형손해보험사와 중소형 보험사들의 치열한 고객 유치 경쟁이 벌어지고 있다.

시작은 지난 달 24일 삼성화재가 먼저 승강기사고배상책임보험을 고유번호 하나로도 간편하게 가입할 수 있다고 홍보하자 이틀 뒤 DB손해보험이 고유번호를 몰라도 주소만 알면 가입이 된다고 밝히면서 가입자 유치경쟁에 막이 올랐다.

그러던 차 지난 달 30일엔 KB손해보험은 아예 기업성보험에 온라인 간편 가입 시스템 오픈 API를 적용해 모바일만 들고 있으면 어디서나 가입이 된다며 기술 경쟁까지 전개되며 흥미진지해진 상황을 보여줬다.

이 같은 경쟁 배경은 지난 2019년 9월부터 시행 된 승강기배상책임보험 의무가입 갱신 시기가 된 탓으로 편리성 경쟁을 할 정도로 시장이 나름 안정적으로 형성됐음을 의미한다. 즉 손해율이 높지 않고 시장이 커나갈 기회가 많다는 것이다.

반면 사이버보험에 대해서는 보험사마다 가입경쟁을 한다거나 서로 유치를 하려고 사활을 건다는 이야기가 없다. 코로나19로 재택근무 및 언택트 경쟁이 치열해지는 상황임에도 국내 IT업계의 불안과 우려에 대해서 보험업계는 최대한 조용히 대처하고 있다.

문제는 국내 사이버보험은 지난 2019년 6월부터 전자금융업자 뿐 아니라 등록되지 않는 중대형 핀테크 기업 중 매출액 최저 5000만원 이상 이용자수 1000명 이상일 경우 무조건 가입해야 하는 의무보험이 됐다는 점이다.

게다가 최근 개인정보보호법 등 데이터 3법 규제가 풀리며 민감해진 보안에 대한 보장 수요가 적잖아지고 있어 보험업계도 기민하게 움직여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그렇지만 갱신주기에 맞춰 가입을 독려해도 부족한 시점에서 정작 홍보도 판매 노력도 부진하다는 것이다.

◇ 승강기 보험은 건물 관련 기업보험 밀접 연관 … 사이버보험은 B2B 시스템이라 어려워

한국과 달리 미국의 사이버보험 시장은 매년 가파르게 성장하고 있다. 이미 시장 형성은 지난 2016년부터 시작 돼 사이버 위험을 대비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는 것이 주요하다.

이 때문인지 사이버보험 판매 상위 20개사를 제외하고도 미 전역 192개 손해보험사다 뛰어들어 사이버보험 판매경쟁을 하고 있다. 재밌는 점은 미국 내 상위 20개 손해보험사가 전체 사이버보험 시장 83.2%를 장악하고 있는 상태인데도 말이다.

특히 올해는 코로나19로 미국 전역으로 확대되면서 사람들 불안심리로 코로나19 관련 피싱메일 공격이 늘어나고 있으며 재택근무 확산 등 사이버 공격 리스크가 어느 때보다 높아져있다. 그만큼 사이버보험 시장은 추가 성장이 가능해졌다는 의미다.

이런 상황만 놓고 봐도 한국은 미국과 상황이 별반 다르지 않는데 왜 사이버보험에 대한 관심은 낮고 반대로 보험사들은 승강기보험을 신규먹거리로 보고 있는지 의아해할 수 있다.

공교롭게도 한국 내 승강기배상책임보험에 대한 가입 경쟁이 치열해진 것은 단순 의무보험에서 그치는 것이 아닌 부가적인 보험 상품으로 접근이 용이하다고 보험사들은 판단하고 있기 때문이다.

승강기를 소유한 고객들은 대다수가 건물을 소유하거나 관리자이기에 이들을 주요고객으로 삼으면 VIP고객처럼 고액의 보험 가입자를 유치하는 것과 마찬가지인 셈이다. 자연스럽게 보험사 입장에선 고액의 가입자들을 끌어들이는 것이니 그 어떤 상품보다 좋은 매개체가 될 수 있다.

이에 손해보험업계 관계자는 “신규 유치보단 간편 서비스를 신규로 출시한 것이 대부분으로 기술적인 측면을 홍보하려는 점이 더 크다”며 “보험 자체 손해율도 높지 않고 시장은 커질 가능성이 크다보니 승강기배상책임보험에 업력을 집중하는 것”이라고 답했다.

이어 “반면 사이버보험의 경우 의무보험이 지정 됐을 때만해도 열기가 높았지만 얼마가지 않고 금방 식었다”며 “주무부처인 방통위 홍보가 낮고 기업의 가입의지가 높지 않은데다 보험사 입장에선 아무래도 B2B보험이다 보니 자연스럽게 분위기를 띄우지 않게 된 경우가 크다”고 말했다.

이어 “상품은 주로 패키지 상품처럼 개인정보보호 및 랜섬웨어 피해 보장 등 여러 보장을 묶어서 판매하고 있다”며 “제일 중요한 건 국내 IT사들의 해킹에 대한 안이한 인식부터 고치는 것이 우선시 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금융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