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권 값 하락으로 시중금리 인상 … 경기회복 기조로 기준금리 인상 관측
제로금리 암울한 보험업계 … 숨통 트이려면 금리인상 뿐

사진설명 - 바이든 행정부가 집권하면서 대규모 재정정책이 이뤄지면서 시중금리가 인상되고 있다. 이 대안으로 대체투자가 떠오르며 SOC 등 사회인프라 투자가 활성화 되면서 소득이 오르고 동시에 기준금리 인상 시그널이 될 수 있다.
사진설명 - 바이든 행정부가 집권하면서 대규모 재정정책이 이뤄지면서 시중금리가 인상되고 있다.
이 대안으로 대체투자가 떠오르며 SOC 등 사회인프라 투자가 활성화 되면 소득 및 물가가 오를 경우 기준금리 인상 시그널 될 수 전망이다.

[FE금융경제신문=장인성 기자] 대규모 재정정책을 준비 중인 바이든 행정부 대선공약에 채권 값이 떨어지며 시중금리가 인상이 되자 대체투자로 기관투자자들 관심방향이 옮겨지고 있다. 이를 계기로 일자리 확충 등 소득수준이 나아지며 내년 초 기준금리 인상으로 연결될지 업계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 채권 값 하락으로 시중금리 인상으로 … 경기회복 기조로 기준금리 인상 연결

10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바이든 행정부가 집권 시 2조 2000억달러(한화 2453조원)의 경기부양책 및 미 국채 발행이 감행 될 것으로 전망되면서 국채 값은 하락하고 시중금리 상승신호가 이어지고 있다고 전했다.

이는 미 연방준비은행(이하 연준)이 미 국채를 매입하며 시장에 안정적인 국채금리를 유지하는 역할을 했지만 이마저도 한계에 다다랐기 때문이다. 이미 지난 2008년 금융위기 당시 양적완화로 많은 돈을 시중에 뿌린 결과로 더 이상 연준 재정정책이 효과가 없단 이야기다.

그럼에도 매월 800억 달러 국채와 400억 달러 모기지증권을 사고는 있지만 지난 6월부터 산만큼 다른 자산을 자금회수를 통해 이를 메꾸고 있다. 이처럼 미 연준 스스로 유동성 확대에 어려움을 겪자 연준은 미 대형은행 위험자산 소유한도 등 규제를 풀어 국채 매입을 독려했다.

이에 초기 은행들은 초과준비금을 꺼내며 적극 국채 매입에 나섰지만 곧 미 국채 수익이 나지 않자 위험자산으로 여기기 시작했다. 그래서 지난 8월 이후엔 미국 대형은행들도 미 국채를 매각하고 초과준비금을 다시 늘리고 있다.

문제는 바이든 행정부가 집권하면서 저소득층 지원 정책으로 재정정책을 확대할 국면에 놓여있다. 올해 상반기와 같이 연준이 여유가 있다면 대규모 국채 발행으로 낙찰되지 않는 국채를 연준이 사줘 재정정책을 뒷받침했겠지만 그럴 여유가 없다.

그래서 미 국채 10년 물 금리는 지난 7월 0.653%, 8월 0.660%, 9월 0.704%, 11월 0.798%까지 시중금리는 올랐으나 최근 미 민주당의 블루웨이브(미 민주당 상하원 모두 장악) 가능성이 낮아지면서 소폭 채권 값이 조정되는 것 말고는 시중금리 인상 현상이 고착화되고 있다.

게다가 미 국채 값이 계속 떨어지면서 회사채 금리도 영향이 와 연기금 및 펀드 등에서 전 세계 채권물량 축소 움직임이 심화되고 있다. 실제 생보사들은 이 달부터 해외투자한도가 늘어나 6개월 전만해도 미 회사채 매입을 고려했으나 현재는 국내 채권시장으로 시선을 돌렸다.

이밖에도 채권이 위험자산화 되면서 대체투자 비중을 늘릴 수밖에 없는데 대표적인 대체투자 중 SOC등 인프라투자가 포함된다. 바이든 행정부가 공약으로 내걸며 친환경 에너지 전환정책을 내걸 수밖에 없던 것도 전반적인 시스템을 바꾸며 투자하지 않으면 경기부양을 이루지 못한다는 근본적 어려움이 짙게 깔렸다는 것을 말한다. 문재인 행정부가 추진하는 그린 뉴딜도 현 시대에선 일자리와 투자효과를 동시에 고려한 대안이 돼 버린 현실을 감안해야 한다.

◇ 제로금리에 암울한 보험업계 … 조금이라도 손실 막으려면 기준금리 인상에 목매

시중금리가 인상되면서 전반적인 국채 값은 하락하는 것이 그리 좋은 신호는 아니지만 대규모 SOC투자로 인해 일자리가 양산되고 바이든 행정부 공약처럼 최저시급 2배를 내걸었을 만큼 현금이 가계로 직접 지급이 되면 소비가 다시 촉진 될 가능성이 크다.

미국의 민간소비는 전체 경제성장율의 85%를 차지하는 만큼 커서 제일 시급한 과제이다. 동시에 이로 인해 물가상승이 연동되며 기업의 고용 증가로 이어질 경우 오는 2021년 코로나19 백신이 완성됐을 때를 가정해 미국 경제성장률은 4%로 전망하고 있다.

이 소식은 곧 기준금리 인상을 촉발할 것으로 전망된다. 연준이 예상하기를 오는 2024년에서 2025년으로 못 박았던 기준금리 인상 예정시간이 바이든 당선으로 2023년에서 2024년으로 1년 앞당겨졌다. 경제 회복속도가 빨라지면 빨라질수록 인상속도에 영향이 크단 의미다.

보험업계는 현재 코로나19로 인해 벌어진 제로금리 시기를 버티는 것도 버거워 하루 빨리 기준금리가 인상이 되길 고대하고 있다. 비록 미 시중금리 인상으로 채권 값 하락이 보험사들 투자 운신 폭을 줄이겠지만 중장기적 소비 촉진으로 금리 정상화 될 가능성도 그만큼 커졌다.

이와 관련해 김상훈 KB증권 스트래터지스트는 “지난 8월 금통위는 코로나19 상황에서 기준금리 인하가 실물경제를 살리기보단 자산버블을 키웠기에 금리인하에 신중해야 한다고 지적했다”며 “코로나19 장기화로 경기가 현 수준을 유지 한다 가정할 때 내년 초까지 금리가 동결 후 금리 인상 기조로 전환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밖에 보험업계 관계자는 “내년 상반기 중 금리가 인상된다는 수사가 늘어났지만 끝까지 지켜봐야 할 일”이라며 “당장 생명보험사 금리가 인상되면 수익이 올라간다는 것보단 고금리 상품으로 인해 나가야할 금액으로 인해 손해를 덜 볼 수 있게 된다는 점만으로도 큰 힘”이라고 답했다.

저작권자 © 금융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