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2~4분기 P50/P10 배율 6.4배로 전년 같은 기간(4.8배)보다 큰폭 상승

지난 3월 12일 서울 마포구 서울서부고용복지플러스센터를 찾은 시민이 실업급여 상담을 받고 있다.(사진=뉴시스)

[금융경제신문=정성화 기자]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한 경기침체로 계층 간 양극화가 심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근로소득과 사업소득은 전반적으로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으나 소득이 낮을 수록 코로나19의 부정적인 영향이 집중되면서  가구소득 불평등 확대 현상이 고착화되지 않도록 정책대응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한국은행이 10일 발표한 '코로나19가 가구소득 불평등에 미친 영향' 보고서에 따르면, 코로나19가 본격적으로 확산되기 시작한 지난해 2분기에 하위 10% 소득 대비 중위소득 배율(P50/P10 배율)은 6.4배로 전년 같은 기간(4.8배)보다 큰폭 상승했으며, 지난해 2~4분기 하위 10% 소득대비 중위소득 배율은 5.9배로, 역시 전년 같은 기간(5.1배)보다 더 크게 벌어졌다. 중위소득과 하위소득 간 격차를 의미하는 중위소득 배율은 숫자가 커질 수록 소득분배가 악화된 것으로 해석된다.

소득분위별로 보면 소득분위가 낮을 수록 감소율이 더 컸다. 지난해 2~4분기 중 소득1분위(하위 20%)의 감소율이 -17.1%로 가장 크게 감소한 반면 5분위는 -1.5%에 그쳤다. 2분위는 -5.6%, 3분위 -3.3%, 4분위 -2.7%로 나타나는 등 코로나19의 부정적 영향이 저소득층에 집중된 것으로 평가됐다. 가국 소득 구간은 가구 총 소득을 5개 구간으로 나눈 것으로 숫자가 큰 구간 일수록 가구소득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해당 보고서는 코로나19 이후 가구소득 불평등이 확대된 이유로 고용충격과 소득충격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데 기인한 것으로 분석했다. 고용충격은 코로나19로 인한 실업, 구직단념 등으로 취업가구가 비취업가구(실업 및 비경제활동인구)로 전환되면서 나타나는 소득 변화를 의미하고, 소득충격은 취업상태가 유지되고 있는 가구의 소득 감소를 뜻한다. 소득1분위 소득감소 가운데 63.8%는 소득충격 영향으로, 나머지 36.2%는 고용충격 요인으로 분석됐다.

고용충격을 보면, 소득1분위에 속하면서 핵심노동연령층이 피해가 컸다.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지난해 2~4분기 소득 1분위 중 비취업가구가 차지하는 비중이 8.7%포인트 증가한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별로 세분화하여 보면, 핵심노동연령층 중 비취업가구 비중이 10.4%포인트 증가해 전체 가구에 비해 크게 나타나 핵심노동연령층 가구의 고용충격이 상대적으로 컸던 것으로 보인다.

취업상태가 유지되고 있는 가구의 소득을 보면 소득1분위 중 대면서비스 일자리에 종사하는 자영업 가구, 유자녀 여성가구의 소득 감소가 중·하위소득 간 격차 확대의 주요 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 이후 대면서비스 일자리 종사 자영업 가구와 유자녀 여성가구의 소득은 각각 29.1%, 23.1% 감소했다.

한은 관계자는 "이번 분석 결과는 코로나19로 인한 가구소득 불평등 확대 현상이 고착화되지 않도록 유의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면서 "자영업의 경우 폐업까지 소요되는 시간을 감안하면 추가적인 고용조정이 현실화될 가능성에 유의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고용충격으로 인한 여성·유자녀 가구의 경력 단절은 장기적으로 성별 소득 불평등을 확대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할 수 있으므로 정책대응이 요구된다"고 조언했다.

저작권자 © 금융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