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경제신문=권경희 기자] 지금은 막강한 2개의 자본주의가 경쟁하는 판국이다. 바로 미국식 ‘자유자본주의’와 중국식 ‘국가자본주의’다. 저자는 미국과 중국의 두 자본주의가 진화해온 역사적 흐름을 살핌으로써 자본주의 변화상을 관찰한다. 그리고 우리가 어떤 자본주의를 선택해야 하는지, 또 어떤 부분을 개선해야 할지 자신의 견해를 밝힌다.

저자는 미국식 서구 자본주의에서 극심해진 불평등과 부패, 세금, 교육, 기본소득, 복지, 이주민 처리 등의 과제에 해법을 제시한다. 국가가 정치적 의도를 갖고 개입하는 중국식 국가자본주의에는 비판적 시선을 유지한다. 하지만 향후 자본주의 변화 과정에서 하나의 대안으로 작동할 수 있다고 강조한다. 나날이 위협받고 있는 미국식 자유 성과주의적 자본주의가 근래에 국가자본주의로 변형될 가능성도 열어둔다.

현대 자본주의의 가장 큰 특징인 세계화 속 자본과 노동의 역할도 다룬다. 향후 글로벌 자본주의는 물론 한국식 자본주의의 미래가 어떤 식으로 펼쳐질지 가늠해볼 수 있다.

저자에 따르면 자유 성과주의적 자본주의는 자본소득이 높을수록 노동소득이 많다. 고전적 의미의 자본가와 달리, 자유성과주의적 자본주의 체제에선 최고경영자(CEO)와 같이 높은 위치에 있는 사람이 훨씬 많이 일한다. 하지만 돈 많고 교육 수준이 높은 이른바 ‘노동 엘리트’들이 가정의 형태로 결합하면서 계층 간 이동 기회가 줄었고, 소득과 부의 대물림이 더 공고해졌다는 게 저자의 주장이다.

국가 자본주의는 ‘눈에 보이는 성과’가 매우 크다는 특징이 있다. 시장을 통제하면서도 자본주의를 최대한 활용한다. 능력 있는 전문 관료를 활용하고 특정한 제도와 법의 속박을 무시한다. 국익에 따라 민영기업도 조정할 수 있다. 국가 자본주의 체제의 약점은 지속 가능성 여부가 불투명하다는 사실이다. 관료들이 법 집행을 제멋대로 하면서 부패가 만연하고, 이런 부패는 불평등을 낳고 사회의 효율성을 떨어뜨린다는 것이다. 부패가 심해지면 성장을 유지할 수가 없다.

저자는 미래 자본주의 시스템에 주목한다. 자유 성과주의적 자본주의와 국가 자본주의의 절충점을 어떻게 마련할지 지켜봐야 한다고 말한다. 인위적으로 탄생된 국가 자본주의는 태생적 부패를 해결하기 어렵다. 자유 성과주의적 자본주의는 인류 역사에서 자연적으로 태어났지만 빈부 격차와 금전 만능주의, 금권 정치 우려가 있다.

저자는 “자본주의가 어떻게 진화할 것인지는 자유 성과주의적 자본주의가 좀 더 진보적 단계로 나아갈 수 있는지에 달려 있다”고 강조한다. 그 대안으로 ‘대중적 자본주의’를 제시한다. 불평등을 해소하기 위해 중산층의 조세 부담을 줄이고, 공립학교의 질을 높여 교육 분야의 부익부 빈익빈을 감소시키는 등 계층 간 격차를 좁히는 데 주력한다는 의미다.

저자는 한국어판 서문에서 북한을 언급한다. 북한 역시 앞으로 국가자본주의 혹은 자유 성과주의적 자본주의 체제로 변화할지를 선택해야 한다고 말한다. 그는 “북한은 폭력적 민족주의 성격의 정권”이라며 “자본주의라는 생산 방식의 세계적 지배에 저항한다”고 꼬집는다. 또 “동아시아는 엄청난 경제성장으로 말미암아 현대 세계의 3대 경제 및 정치적 극점 가운데 하나가 됐다”고 덧붙인다.

이 책은 각 지역에서 오랜 역사를 거쳐 진화해 온 자본주의 구조를 다소 거칠게 구분했다는 인상이 있다. 풍부한 데이터 활용은 이 책의 백미다. 미국과 유럽의 최신 자료, 접근하기 어려운 최근 중국 내부 자료 등이다. 중국 자료는 1980년대부터 현재까지의 도시·농촌별 지니계수와 공산당원과 비당원의 행정구역별 수입 차이 등까지 다양하다.

브랑코 밀라노비치 지음/ 세종

저작권자 © 금융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