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일 '저축은행 양극화 현황과 개선과제’ 주제로 '2021년 제1회 저축은행 서민금융포럼' 열려
양극화 해법으로 영업구역 규제 합리화, 원활한 인수·합병(M&A), 지역 경기 활성화 등 제시

11일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열린 '2021년 제1회 저축은행 서민금융포럼'에서 남재현 국민대 교수가 발표를 하고 있다.(사진=저축은행중앙회) 

[금융경제신문=정성화 기자] 수도권 대형 저축은행과 지방 소형 저축은행간의 양극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영업구역 규제 합리화, 원활한 인수·합병(M&A), 지역 경기 활성화 등 정책적 지원 및 제도개선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저축은행중앙회는 11일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수도권과 지방, 대형사와 중·소형사 간 업권내 양극화에 대한 논의를 위해 ‘저축은행 양극화 현황과 개선과제’를 주제로 '2021년 제1회 저축은행 서민금융포럼'을 개최했다. 

이번 포럼에는 박재식 저축은행중앙회장, 김대웅 웰컴저축은행 대표, 홍승덕 아산저축은행 대표를 비롯해 금융위원회·금융감독원 정책당국 관계자, 서울신용보증재단·SGI서울보증 등 유관기관 임직원이 참석해 저축은행 양극화 문제에 대한 높은 관심을 보였다.

박재식 저축은행중앙회장은 인사말을 통해 "저축은행 업계가 과거에 비해 성장성, 수익성 등 경영상황이 안정화되고 있으나 이는 수도권·대형 저축은행에 집중돼 나타나고 지방 저축은행은 지역의 인구 감소, 경기 침체 등으로 영업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그간 금융당국도 수도권과 지방 격차완화를 위해 지방 저축은행의 영업구역 내 여신비율 완화 등의 조치를 실시하고 최근에는 저축은행간 인수·합병 허용 등의 대책을 추진하고 있으나 지방 저축은행 경영은 여전히 어려운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박재식 회장의 인사말에 이어 토론에 나선 남재현 국민대학교 경제학과 교수는 저축은행 양극화의 원인으로 ▲저금리 추세의 지속 ▲지방 경기 침체 ▲복수 영업구역을 보유한 저축은행들의 수도권 영업집중이 가능한 규제체계 등을 꼽았다.

남 교수는 영업구역 규제 합리화가 절실하다고 강조했는데 대형 저축은행은 대부분 수도권을 포함한 복수 영업구역 보유한 반면 소형 지방 저축은행은 그렇지 못하다는 것이다. 남 교수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자산 상위 20개 저축은행은 모두 수도권 소재하면서 이중 13개사는 복수 영업구역 보유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자산 하위 20개 저축은행은 모두 비수도권 단일 영업구역을 보유하고 있었다.

남 교수는 "저축은행은 지역경제 활성화 등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므로 수도권과 지방 저축은행 간 격차 해소를 줄이려면 정책적으로 제도를 개선해야 한다"면서 "복수 영업구역 보유 저축은행의 의무대출 비율 산정 등의 영업구역 관련 규제에 대한 형평성 확보 노력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또한, 원활한 인수·합병 등을 통한 지방 소형 저축은행의 몸집 불리기도 필요하다고 봤다.

남 교수는 "인수·합병 등을 통해 지방 소형 저축은행의 규모도 키워야 한다"며 "저축은행의 규모 증대가 이뤄지면 저금리 기조 하에서 어느 정도의 금리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이어 "수도권과 달리 지방 저축은행의 매각 작업이 취소되거나 상당기간 진전을 보지 못하고 있는 근본적인 이유는 결국 매수가와 매도가의 큰 격차 때문"이라며 "정부는 영업 구역 외의 다른 인센티브 제공을 고민할 필요가 있고 이와 더불어 저축은행 양극화 완화 노력은 궁극적으로 지방 저축은행 매수가를 높일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 밖에도 그는 정부·지차체·업계의 공동 노력을 통한 지역 경기 활성화, 지역신용보증재단 등 공적보증 연계를 통한 관계형 금융 지원, 한국은행 저리자금 지원을 통한 지역금융 활성화 지원 등을 양극화 해법으로 제시했다.

저작권자 © 금융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