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재용 IT컨설팅 전문 AJ&컴퍼니 대표이사 (사진=AJ&컴퍼니 제공)
안재용 IT컨설팅 전문 AJ&컴퍼니 대표이사 (사진=AJ&컴퍼니 제공)

한때 붐을 일으켰던 NFT가 내림세를 걷고 있다. 지난 칼럼에 이어 그 이유에 대해 계속해서 짚어보려고 한다.

NFT 복제품이 성행하고 있다. NFT는 본래 예술작품의 저작권을 인증하기 위한 수단으로 인식되어 가치를 인정받았으나, 실제로는 돈이 되는 NFT들은 복제가 성행했다. 불법 판매자들이 인기 있는 NFT의 이미지 등 리소스만 그대로 베껴 이름만 다른 NFT로 발행하는 일이 잦았다.

이러한 불법행위에도 실제 저작권을 가진 사람이 할 수 있는 일은 오픈씨같은 NFT 거래소에 판매 중단을 신고하는 일이었을 뿐, 불법 판매자에게 어떠한 처벌도 받게 할 수 없었다. 블록체인이 지갑주소로 신원을 특정할 수 없고 리소스를 포함한 모든 데이터가 공개되는 특성 때문에 가능한 일이었다. 저작권을 보호받기 위해 발행한 NFT가 오히려 불법복제의 온상이 되어 NFT의 가치를 하락시키고 말았다.

NFT 소유자에 대한 법률지원도 미비하다. NFT를 소유했다고 해서 분쟁 발생 시 저작권을 인정받은 사례가 거의 없다. 저작권은 법률에서 정의하는 권리이다. 어떤 경우 NFT 이미지를 상업적으로 쓰기 위해 먼저 발행인에게 연락해 저작권을 확보한 경우는 여럿 있었다. 하지만 NFT 이미지를 도용한 경우 분쟁이 발생하고 소송까지 이어져 NFT 소유권자가 승소한 경우는 알려지지 않았다. NFT의 소유주는 디지털 인증서를 구매하였음에도 법률적 보호를 전혀 받지 못한 셈이다.

자전거래로 인해 신뢰도 하락했다. 블록체인은 한명이 여러개의 지갑을 소유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이용해 어떤 NFT를 여러명이 고가에 구매한 것처럼 거래 이력을 속일 수 있다. 또 발행자가 비싼 가격에 자신의 NFT를 되사들여 가격을 올리려는 시도가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이러한 사건이 언론에 보도될 때마다 NFT 구매자이 내가 산 NFT의 가격이 부풀려진 게 아닌지 의심하게 했다.

러그풀로 인한 신뢰도 하락했다. NFT 개발자가 투자자를 모집한 후 투자금을 가로채고 잠적해 프로젝트가 중단되는 경우를 러그풀이라고 한다. 암호화폐 분석기업 체이널리시스(Chainalysis)에 따르면 2021년 러그풀로 인한 피해금액은 2억8000만달러 이상이었다. 러그풀 개발자는 휘황찬란한 프로젝트 개발 로드맵을 제시해 투자금을 끌어모으지만, 계획을 실천에 옮기지 않는다. 이러한 행위는 NFT 구매자에게 산업 전반에 대한 불신을 심어주게 되었다.

끝으로 코인 가격 하락이 원인이 됐다. 테라 사태, FTX 사태를 겪으며 사용자들 사이에서 가상자산에 대한 회의론이 심각하게 대두되었다. 더욱이 코인 가치가 하락함으로써 코인으로만 구매할 수 있는 NFT의 가치도 급격히 하락하였다.

NFT 거래량의 감소는 단순히 코인 가격이 내려갔기 때문만이 아니라, 그 배경에 다양한 이유가 있다. 일부 전문가들은 NFT가 거품이 빠지고 제자리를 찾아가고 있다고 진단하기도 한다.

앞으로 NFT를 구매하고자 한다면 묻지마 투자가 아니라 그 가치에 대해 한번 더 재고해보고 신중히 투자하길 권한다.

저작권자 © 금융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