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3개월 카카오페이·네이버페이·페이코 계좌 1억2000만원 피해 신고

5월들어 보이스피싱 피해 사례가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카카오페이, 네이버페이, 페이코 등 간편송금 앱을 통한 피해액이 증가한 것으로 드러났다.
5월들어 보이스피싱 피해 사례가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카카오페이, 네이버페이, 페이코 등 간편송금 앱을 통한 피해액이 증가한 것으로 드러났다.

[금융경제신문=최진승 기자] 5월 들어 보이스피싱 피해사례가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카카오페이, 네이버페이와 같은 간편송금 앱을 통한 피해액이 크게 늘어난 것이 특징이다.

23일 금융감독원 '보이스피싱 지키미' 현황에 따르면 이달 들어 보이스피싱 신고에 따른 채권금액이 큰 폭으로 증가했다. 이 가운데 상당수의 피해금액이 흘러들어간 사기이용계좌가 간편송금 기업 계좌였다. 간편송금 앱이 보이스피싱의 주요 수단으로 자리잡은 셈이다.

최근 3개월 간 구체적인 계좌별 피해신고액을 살펴보면 카카오페이(약 9900만원), 네이버파이낸셜(1920만원), NHN페이코(약 1823만원) 순이다. 앱 이용자들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한 상황이다.

금융당국도 이 같은 금융거래의 간편성을 악용한 신종 보이스피싱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고 주의를 당부했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보이스피싱 피해금액은 1451억원으로 전년대비 231억원 감소했고, 오픈뱅킹 및 간편송금에 의한 피해사례 역시 감소 추세다. 하지만 1인당 피해액 규모는 크게 줄어들지 않고 있다. 오픈뱅킹의 경우 사기범이 피해자의 여러 계좌에 접근할 수 있기 때문에 한 번 피해가 발생하면 피해규모가 커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인터넷전문은행의 경우 피해금액이 오히려 증가 추세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피해금액 비중이 20.9%로 전년(7.7%)보다 크게 늘었다. 보이스피싱 지킴이의 최근 3개월 간 사기이용계좌를 살펴보면 카카오뱅크(390건), 케이뱅크(351건) 순이다. 금융 편의성이 높아진 반면 그에 따른 피해사례도 늘어났다.

정부는 보이스피싱 엄단을 국정과제로 발표하고 대응하고 있으나, 아직까지 실효성 있는 대책은 마련치 못한 상황이다. 지난 2월 금융위원회는 제2차 금융분야 보이스피싱 대책 발표를 통해 가상자산에 통신사기피해환급법 적용, 금융회사와 간편송금업자 간 보이스피싱 관련 계좌정보 공유 등의 방안을 내놓았지만, 당장 법 개정 및 시스템 개발이 뒤따라야 하는 상황이다.

당시 금융위는 “향후 법개정이 필요한 부분은 의원입법을 추진해 국회에 제출하고, 금융회사 등의 시스템도 신속히 개발해 진화하는 보이스피싱 수법에 대응하겠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 금융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