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화금융사기 피해 감소 불구 공공기관 사칭형 발생 여전히 많아
흥미 유발 문자메세지 주의… 전화·문자 사기 가능성 늘 의심해야

위조된 금융위원회(왼쪽)와 검찰청 공문 (사진=경찰청 제공)
위조된 금융위원회(왼쪽)와 검찰청 공문 (사진=경찰청 제공)

[금융경제신문=조정현 기자] 전화 금융사기 피해가 감소 추세에도 불구하고 경찰이나 금융감독기관을 사칭한 기관사칭형 범죄는 여전히 많이 발생하고 있어 주의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6일 경찰청 국가수사본부(이하 국수본)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5월까지 발생한 전화금융사기건수와 피해액은 7363건, 1713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의 1만707건, 2622억원과 비교해 각각 31%, 35%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경찰이나 금감원 등 공공기관을 사칭한 범죄는 여전히 많이 발생하고 있으며, 수법도 더욱 교묘해져 신중한 대처가 요구된다.

국수본은 기관사칭형의 경우, 피해자에게 ‘범죄에 연루돼 구속 수사한다.’는 등 협박해 공포심을 조성하며 판단력을 흐리게 만들고, 그 상태에서 피해자가 가진 전 재산에 각종 대출까지 받게 해서 가져갈 수 있는 모든 금액을 가져간다고 밝혔다. 이어 이 같은 경우 피해자는 고액의 대출이자까지 감당해야 하는 등 회복이 불가능한 수준이 돼 이런 수법에 속지 않도록 피해 사례를 잘 숙지하고 있어야 한다고 주문했다.

특히 경찰청 등 여러 정부 부처와 지방자치단체, 금융기관, 통신사 등에서 보도자료나 뉴스· 예방 캠페인 등을 통해 많이 안내하고 있음에도 피해가 계속 발생하는 이유는, 정보 홍수 속에 핵심 내용을 전달받지 못하고 피싱을 당할 때 자기 사례에 대입하지 못하기 때문이라고 국수본은 설명했다.

국수본은 기관사칭형은 별다른 수법 변화가 없는 만큼 해외직구 결제, 계좌 개설, 택배 반송 등 피해자들이 궁금하게 생각할 만한 내용으로 온 문자메시지를 주의해야 하며 문자메시지에 인터넷주소(url)가 포함돼 있으면 절대 누르지 말고, 직접 인터넷을 검색해서 찾은 대표번호로 회신하는 습관을 지녀야 한다고 당부했다.

이어 금융사기조직들은 악성앱을 통해 피해자의 전화를 가로채서 받고 자신들의 전화번호가 정상적인 번호인양 속이는 등 휴대전화의 모든 권한을 가져갈 수 있는 만큼, 피해자들은 이 같은 악성앱의 특성을 파악해 전화하는 사람이 검사나 경찰, 금감원 직원이 아닐 수 있다는 점도 명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국수본은 전화사기단의 시나리오도 잘 파악해야 한다고 주의를 촉구했다. 사기범들은 처음엔 상품 취소나 계좌 개설 여부를 확인하라고 하지만, 바로 금감원이나 검찰청 직원을 사칭해 피해자 계좌가 자금세탁에 활용됐고, 고소장 또는 신고가 많이 접수됐다고 한 후 고압적 목소리로 가짜 공문·구속영장 등을 카카오톡으로 보내 구속 수사가 필요하다고 압박한다. 구속 없이 약식수사로 하려면 수사에 협조하라고 강요한다고 밝혔다.

특히 사기범들은 은행 직원이 범행에 연루됐다며 은행 직원과 경찰을 믿지 못하게 하고, 보안 유지가 필요하다며 주변 사람에게 얘기하지 못하게 고립시킨다. 이후 자산 검사, 현금 일련번호 확인, 수사 협조 등의 각종 명목으로 계좌 이체, 상품권 핀(pin) 번호 전송, 현금인출·전달, 가상자산 이체 등을 통해 자금을 받고 심지어 대출이 잘 실행되는지도 점검해야 한다며 대출까지 받게 만든다고 국수본은 설명했다.

국수본 관계자는 “경찰청에서 제작한 동영상을 꼭 봐주시고, 가족·친지·친구·동료 등 최대한 많은 사람과 공유해 달라”고 요청했다. 이어 “수사기관은 영장이나 공문서를 절대 사회관계망서비스나, 문자로 보내지 않는다”며 “인권 수사가 강조되는 지금 절대 수사기관을 두려워할 필요가 없으며, 일단 전화를 끊고 주변 사람에게 물어보고, 특히 자산 검사 등을 명목으로 현금·가상자산·문화상품권을 요구하면 100% 사기이니 전화를 끊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끝으로 “모든 전화나 문자는 일단 전화금융사기 가능성을 언제나 염두에 둬야만 한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금융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