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거래 활성화를 위해 도입됐던 취득세 감면 종료가 한 달 앞으로 다가왔다. 하지만 주택매매 시 최소 1개월 이상이 소요된다는 점을 감안하면 취득세 감면에 따른 거래는 이미 어려워졌다는 현장 반응이 나오고 있다. 또 계절적인 비수기까지 겹치면서 매매시장은 더욱 힘든 상황을 맞이할 전망이다.

전세시장은 이사수요가 점차 줄면서 안정세를 찾아가고 있다.

서울은 0.05%를 기록하며 아직까지 강세를 보였지만 신도시와 경기는 금주 들어 각각 -0.01% 하락한 것이 눈에 띈다. 부동산포털 닥터아파트(www.DrApt.com)가 11월 23일부터 11월 29일까지 아파트 값을 조사한 결과 수도권 매매가 변동률은 -0.03%, 전세가 변동률은 0.02%를 기록했다.

지방 5대광역시 매매가 변동률은 보합, 전세가 변동률은 0.01%를 나타냈다.

[ 매매 ] 서울 매매가 변동률은 -0.04%다. 양천구(-0.23%)가 가장 많이 떨어졌고 노원구?마포구?중구(-0.10%), 서초구(-0.08%), 강남구(-0.05%), 강동구?영등포구(-0.03%) 등이 뒤를 이었다. 양천구는 매도?매수자간 희망가격차가 커 거래가 쉽지 않다.

중소형 급매는 조금씩 소진되고 있지만 중대형은 문의도 없다.

신정동 신시가지14단지 125㎡가 2천만원 내린 8억~8억5천만원, 신시가지12단지(저층) 66㎡가 1천7백50만원 내린 3억6천만~4억원이다. 노원구는 매수세가 없어 거래가 안 되면서 집주인들이 가격을 내렸다. 공릉동 공릉삼익 138㎡가 1천5백만원 하락한 3억9천만~4억3천만원, 중계동 주공5단지 92㎡가 1천만원 하락한 3억5천만~4억원이다. 마포구는 가격을 낮춘 급매물 위주로 거래가 1~2건 이뤄지는 것이 전부다.

특히 중대형은 매수세가 전혀 없어 거래가 멈췄다.

공덕동 마포현대 105㎡가 1천5백만원 하락한 3억9천만~4억3천만원, 염리동 삼성래미안 105㎡가 1천만원 하락한 4억5천만~4억8천만원이다. 서울 외 수도권에서는 신도시가 -0.01%, 경기도 -0.03%, 인천 -0.01%를 기록했다. 지역별로는 과천시(-0.20%), 광명시(-0.17%), 안양시(-0.11%), 의정부시(-0.09%), 시흥시(-0.06%), 평촌신도시(-0.05%), 수원시?인천 부평구(-0.03%), 의왕시?분당신도시?남양주시(-0.02%) 등이 내렸다.

과천시는 중앙동 주공1단지 가격이 떨어졌다. 주공1단지 경우 재건축을 추진 중이지만 불황 여파로 재건축에 대한 기대감이 크게 줄어든 상태다. 간혹 거래가 이뤄져도 가격은 전에 비해 크게 하락한 모습이다. 중앙동 주공1단지 89㎡가 2천5백만원 하락한 8억5천만~9억원이다.

광명시는 거래가 뚝 끊기고 문의도 없어 급매 외에는 거래가 힘들다. 철산동 철산래미안자이 110㎡가 1천5백만원 내린 4억8천만~5억원, 철산푸르지오하늘채 105㎡가 1천5백만원 내린 4억5천만~4억8천만원이다.

안양시는 매수세가 없어 가격이 계속 하락 중이다. 인근 의왕시 내손동 대림e편한세상으로 입주하는 일부 사람들이 급한 사정에 가격을 낮춰 매물을 내놓았지만 거래는 어렵다. 비산동 롯데낙천대 135㎡가 1천만원 내린 4억2천만~4억7천만원, 삼성래미안 105㎡가 1천만원 내린 3억7천만~4억3천만원이다. 지방 매매가 변동률은 대구?경북(0.01%), 세종시(0.04%)가 상승, 대전?부산(-0.01%)이 내렸으며, 나머지는 보합세다.

[ 전세 ] 서울 전세가 변동률은 0.05%를 기록했다. 강남구(0.23%)가 가장 많이 올랐고, 서초구?마포구?용산구(0.10%), 동대문구(0.08%), 동작구(0.04%), 강북구?노원구(0.03%), 양천구?중구?강서구(0.02%) 등이 상승했다.

강남구는 수능 이후 방학동안 이사하려는 학군수요가 증가했지만 전세물건은 여전히 귀해 가격이 오름세다.

아울러 서초구 재건축 이주수요에 따른 영향도 나타나고 있다. 도곡동 도곡렉슬 109B㎡가 2천5백만원 오른 6억5천만~6억8천만원, 압구정동 구현대10차 115㎡가 3천5백만원 오른 3억5천만~4억원이다. 서초구는 재건축 이주수요와 재계약 증가로 인해 전세물건이 부족해지자 집주인들이 호가를 큰 폭으로 올리고 있다. 잠원동 한강 92㎡가 3천만원 오른 3억~3억5천만원, 방배동 롯데캐슬헤론 195㎡가 2천5백만원 오른 6억7천만~7억원이다.

마포구는 역세권 주변의 중소형 아파트가 인기다. 물건이 없다보니 오른 가격에 나와도 바로 계약이 이뤄진다.

공덕동 마포현대 82㎡가 3천만원 오른 2억2천만~2억4천만원, 성산동 동성 79㎡가 2천2백50만원 오른 2억~2억2천만원이다. 서울 외 수도권에서는 경기와 신도시가 각각 -0.01%, 인천 0.02%로 조사됐다.

지역별로는 광명시?인천 부평구(0.07%), 인천 연수구(0.05%), 남양주시(0.03%), 평택시(0.02%) 등이 올랐고 안양시(-0.25%), 평촌신도시(-0.11%), 성남시(-0.09%)는 내렸다.

광명시는 철산동, 하안동 일대가 올랐다. 특히 중대형은 수요에 비해 물건이 워낙 적어 가격이 오르는 추세다. 철산동 철산래미안자이 110㎡가 1천만원 오른 3억3천만~3억4천만원, 하안동 187㎡가 2천만원 오른 4억~4억5천만원이다.

인천 부평구는 나와 있는 물건이 별로 없다. 워낙 물건이 귀해 집주인이 가격을 올려 내놓은 것이 시세에 그대로 반영됐다. 부평동 동아2단지 82㎡가 7백50만원 상승한 1억3천만~1억3천5백만원이다.

반면 안양시는 인근 의왕시 내손동 대림e편한세상 입주 영향으로 가격이 내려갔다. 비산동 롯데낙천대 135㎡가 1천만원 내린 4억2천만~4억7천만원, 삼성래미안 105㎡가 1천만원 내린 3억7천만~4억3천만원이다.

지방 전세가 변동률은 대구(0.02%), 대전(0.01%), 경북(0.02%)이 올랐으며, 기타 지역은 보합세다.

저작권자 © 금융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