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진승 편집국장
최진승 편집국장

미디어는 뉴스를 생산한다. 기록하고 공개한다. 뉴스는 공정성을 전제로 독자에게 전달되어야 하지만 문제는 뉴스가 유통되고 평가받는 과정이 그리 공정하지 않다는 데 있다. 국내 포털들의 뉴스 제공 방식에 대한 얘기다.

지난 1일 다음(Daum)은 뉴스 검색결과를 노출하는 방식을 바꿨다. '콘텐츠 제휴' 언론사의 뉴스만 기본 검색결과에 노출시키는 방식이다. 이렇게 되면 나머지 1100여개의 '검색 제휴' 언론사의 뉴스는 소비자가 별도의 설정을 하지 않으면 노출되지 않는다.

이에 인터넷신문협회와 기자협회 등이 반발하고 나섰다. 기자협회는 성명을 통해 “다음의 뉴스검색 기본값 변경으로 군소 언론사만 피해를 보는 것에 반대한다”며 “언론사는 기사의 품질로 그 가치가 결정돼야 한다"고 정책 철회를 요구했다. 인터넷신문협회 회원사들은 수원지방법원 성남지원에 '뉴스 검색서비스 차별 중지' 가처분을 내기도 했다.

국내 뉴스 소비자들의 포털 의존도는 심화되고 있다. 문화체육관광부가 2021년 발표한 '여론집중도 조사 결과'에 따르면 포털을 통해 뉴스를 이용하는 비중은 2015년 28.1%에서 2020년 38.3%로 증가 추세다. 포털이 여론에 끼치는 영향력도 자연 커질 수밖에 없다.

이렇다보니 언론사들은 포털에 기사를 노출하기 위해 혈안이 돼 있다. 포털에서 검색이 안되면 좋은 기사도 알려질 기회를 잃기 마련이다. 포털의 노출 여부는 광고 수익과도 직결된다. 언론사가 포털에 기사 송출을 최우선 과제로 여기는 이유다.

국내 양대 포털사이트인 네이버와 다음은 2015년 3월 뉴스제휴평가위원회(제평위)를 설치해 매년 두 차례씩 뉴스 매체에 대한 심사를 진행해 왔지만, 올해 5월 22일 돌연 제평위 잠정 중단을 통보했다. 일각에서는 이 같은 일련의 상황이 정치적 압력에 의한 것으로 의심하기도 한다.

한켠에서는 언론사들이 스스로 불씨를 키웠다는 주장도 제기된다. 이번 사태에 기자협회는 "우리 언론도 자유롭지 못하다. 광고단가를 올리기 위해 포털 입점에 목을 매고, 선정적인 제목과 기사로 트래픽 장사에 몰두했고, 기사형 광고나 기업 비판 보도로 광고를 수주하는 행태 등은 어제오늘 일이 아니다"라며 반성과 성찰을 촉구했다.

포탈을 향한 치열한 입점 경쟁은 매년 평가위원회의 공정성 의혹을 불러왔다. 과거 평가위원들의 명단이 공개되면서 논란이 되기도 했는데, 심의위원들 가운데 현역 언론인들이 다수 포함돼 있었기 때문이다. 평가위원회에 대한 공정성 문제는 끊임없이 제기됐다.

네이버와 다음은 뉴스제휴평가위원회가 독립 기구임을 강조했지만 이것이 공정성을 대변한다고 보는 이는 드물다. 결정 권한을 가진 자리에 각종 이해 당사자들이 참여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현재의 포털은 콘텐츠 공급자들에게 폐쇄적인 구조다. 평가와 수익 분배에서도 신뢰를 주지 못하고 있다. 포털 중심의 뉴스 공급과 유통에 적절한 변화가 필요한 상황이다.

포털은 더 이상 언론의 자유가 보장된 광장이 아니다. 소수에게 제휴 및 편집 권한이 주어진 지금과 같은 구조에서라면 말이다. 공정성은 어디에서 비롯되는가 곱씹어봐야 할 때다.

저작권자 © 금융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