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대통령은 집권 초기 친기업(기업 프렌들리)을 표방하며 경제위기 극복에 상당한 자신감을 보였다.전 정권과 극명하게 대비되는 이같은 선택은 성공 신화를 일군 기업 CEO 출신이기에 설득력을 얻을 수 있었다. 그러나 재계릐 기대와는 달리 실제로 이 대통령이 친기업에 역량을 모은 적은 없다.

차츰 시간이 흐르면서 친기업에 대한 공격수위가 높아지는 등 곱지않은 시선이 쏠리기 시작했고 돌연 이 대통령은 직접 서민경제 현장을 독려하는 등 친서민으로 정책방향을 틀었다.

정치란 묘한 것이다. 친기업에 부정적인 시각을 보이더니 이번에는 친서민이 표플리즘이라고 비난한다.

친기업은 잘못됐고 친서민은 인기를 노린 쇼인가. 친기업과 친서민을 상방된 개념으로 보기 때문에 그러한 인식이 나오는 것이다.

우리 국민들은 기업, 특히 대기업에 대한 반감이 높다. 그동안 정경유착의 폐해가 만들어놓은 실망감 때문일 것이다.

기업들의 실력이 특별히 뛰어나서가 아니라 정권에 빌붙어 온갖 특혜를 누리며 제 이익만 챙기다보니 고용창출 요인이 큰 중소기업이 제대로 자랄 수 있는 토양이 만들어지지 못했다는 비판이다.

틀린 말도 아니다. 사실 정경유착에 따른 대기업의 횡포도 부인할 수만은 없다. 잊을만하면 줄줄이 드러나는 정경유착의 흔적들은 악취가 심할 정도다.

최근에도 전직 대통령의 자살과 게산의 주목을 받던 40대 총이 후보의 진흙탕 범벅이 된 낙마, 전 정권의 핵심인물에서 강원도지사로 화려하게 입성한 야권 정치인과 촉망 받던 여당 중진의원의 뇌물수수 사건 등 메가톤급 이슈의 중심에 박연차라는 지역 경제인이 서있다.

그러나 과거 정권에도 다음 정권에도 받연차같은 인물은 항상 있었고 또 있을 것이다. 친기업을 할 수 없는 이유는 그래서 늘상 존재한다. 기업인들에 대한 거부감은 우리의 장점 요인인 기업가정신마저 인정할 수 없게 만든다.

그래도 친기업은 계속되어야 한다. 정경유착의 고리를 단호하게 뿌리 뽑아야셌지만 친기업도 전폭으로 진행되어야 한다. 정치인이나 관료, 지방자치단체장들이 오해의 소지를 남기지 않기 위해 기업인들을 피한다면 그것은 비겁한 일이다. 투자유치를 하고 일자리를 만들어 민생을 편하게 해주는 것이 친기업이고 친서민이다. 그러기 위해선 기업이 맘놓고 돈을 벌 수 있게금 정부 정치인 지자체가 합심해서 도와줘야 한다.

필요하다면 대통령도 정치인도 지자체장도 일개 기업을 위해 해외에 나가 세일즈를 해주어야 친기업이 완성된다.

수출입은행이 주도해 한국형 히든챔피언(세계적 경쟁력 있는 강소기업)을 집중 육성, 우리 결제의 허리를 견실하게 만들겠다고 하는데 이를 친서민 일환으로 볼 수도 있겠지만 이 또한 친기업이다. 친기업에 대기업, 중소기업의 국경은 없다. 친기업을 하는 것이 친서민이라는 점을 헷갈려서는 안된다.

기업의 경쟁력을 높여 일자리를 많이 늘리는 것이야 말로 가장 현실적인 친서민이다.

저작권자 © 금융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