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당수 금융기관들이 올해 하반기 도입예정인 외환건전성부담금(은행세)에 대해 더 신중을 기해야 한다는 입장을 보였다.

대한상공회의소가 최근 금융기관 280개사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예정대로 하반기에 도입해야 한다’는 의견이 22.1%인데 반해, ‘서두르지 말고 국내외 사정을 고려해 내년 이후 도입해야 한다’는 의견이 39.7%, ‘도입이 불필요하다’는 의견도 35.7%로 나타나 도입을 미루거나 신중히 검토해야 한다는 의견이 75.4%에 이르렀다.

은행세로 알려진 외환건전성부담금은 자본유출입에 따른 외환시장의 불안을 막기 위해 도입된 제도로 금융기관의 비예금 외화부채에 대해 기간에 따라 최고 0.2%(1년 이내)에서 최저 0.03%(5년 초과)의 부담금을 부과하는 제도다.

금융선진국과 비교한 국내 금융규제 수준에 대해서는 응답기업의 72.2%가 ‘더 심하다’고 답했고, ‘약하다’는 의견은 10%에 그쳐 규제를 완화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추진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상공회의소 관계자는 “금융위기 재발 방지를 위해 금융규제를 강화하고 있는 국제적인 추세에는 공감”하면서도 “국내 금융환경이 선진국과 다른 만큼 경쟁력 확보를 위해서 규제완화가 우선돼야 한다”고 말했다.

제도 개선이 필요한 금융규제로는 건전성 규제(38.9%), 진입규제(20.7%), 투자자 보호(16.1%), 방화벽 규제(9.6%) 등이 차례대로 꼽혔다.

최근 규제 강화 논의가 진행 중인 사모펀드 등 이른바 ‘그림자 금융’에 대해서는 응답기업의 47.5%가 ‘완화해야 한다’는 의견을, ‘강화해야 한다’거나 ‘현행대로 유지해야 한다’는 의견은 각각 23.9%, 28.6%였다.

이외에 선물환 포지션 규제, 외국인 채권투자 과세, 은행의 바젤Ⅲ, 증권사의 영업용순자본비율 규제에 대해서는 ‘현행 유지’를 바라는 기업들이 많았으며, ‘규제 강화’보다는 ‘규제 완화’를 바라는 의견이 우세했다.

향후 금융기관의 과제로는 응답기업의 40.0%가 ‘수익구조 다변화’를 들었으며, 대형화·글로벌화(34.3%), 전문화·차별화(33.9%), 창의적인 신규상품 개발(27.5%), 리스크 관리(23.9%), 전문인력 양성'(11.8%), 투자은행(IB) 육성(10.7%) 등을 꼽았다.

저작권자 © 금융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