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기식 불명예 퇴진에 문재인 정부 금융 개혁 작업 자체 타격
후임 임명 숨고르기 할 듯... 관료출신이냐 다시 개혁적 인물이냐 '주목'

[금융경제신문= 손규미 기자] 취임 2주만에 낙마한 김기식 전 금감원장 사태에 대해 모 금융사 간부는 "금융개혁에 대한 기득권층 저항에 얼마나 심한가를 보여준 상징적 사건"이라고 말했다.  문재인 대통령도 김기식 사태에 대해 "개혁을 위한 인사가 참 어렵다"고 토로한 바 있다. 그만큼 이번 김기식 사태(?)가 보여준 의미는 크다.

16일 김기식 원장은 선관위가 공식선거법 위반 소지가 있다고 판단하자 즉각 사의를 표명했다. 지난 2일 공식 취임한 지 14일만이다. 김 원장은 15일 오후만 해도 저축은행 CEO들과 만나 저축은행들이 연 20%가 넘는 고금리 대출을 부채질하고 있다며 강하게 질타하기도 했다. 취임 이후 계속된 퇴진압박 속에서도 삼성증권 배당사고 등을 손수 챙기며 강한 돌파의지를 보였지만 결국 오래가지 못했다.

이제 금융권은 물론 정치권에 이르기까지 문 대통령이 후임 금감원장에 어떤 인물을 발탁할 것인가에 주목하고 있다. 선택은 두가지다. 관료 출신이냐, 다시 개혁적 인물이냐? 만약 관료 출신을 임명하면 시장은 금융개혁은 물건너 갔다는 신호로 해석할 것이다. 

당초 문 대통령은 대표적 재벌개혁파이자 '친문 실세'로 분류되는 김 원장을 임명, 땅에 떨어진 금융감독 수장의 위신을 높이고 '금융 적폐 청산'의 고삐를 늦추지 않겠다는 의지를 표명했다.

김 전 원장은 참여연대를 창립하고 2012년 비례대표로 제19대 국회에 입성한 뒤 정무위에서 날선 지적으로 금융당국과 금융기관을 쥐락펴락해 '저격수'란 별명이 붙었을 정도로 개혁적인 인사로 금융 개혁에는 '제격'이란 평을 받았다. 하지만 그랬던 김 전 원장조차 불명예스럽게 물러나면서 문재인 정부의 금융 개혁 작업 자체가 타격을 입을 수밖에 없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또 한 달도 안 돼 2명의 수장이 불명예스러운 일로 자진 사퇴하는 '참사'를 당한 금융감독원의 위상을 바로 세워야 하는 과제도 시급하다. 특히 '금융권 저승사자'로 불리우며 강력한 금융 개혁을 예고했던 김기식 전 원장이 위법 판정으로 물러나면서 '금융 검찰' 역할을 하고 있는 금융감독원의 권위가 바닥으로 곤두박질친 모습이다.

금감원은 지난달 최흥식 전 원장이 하나은행 채용비리에 연루돼 조기 사퇴하면서 체면을 한 번 구겼다. 재임 기간 6개월로 당시 최단 기록을 경신했지만 김 전 원장은 이보다 '훨씬' 짧은 2주 만에 물러나 역대 최단기 퇴진이라는 오명을 남기게 됐다.

두 원장의 연이은 낙마로 금감원장에 대한 검증이 한층 강화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면서 금융감독 수장 공백은 장기화될 전망이다. 문 대통령이 강력한 의지를 보인 '금융 개혁'도 당분간 숨고르기를 하지 않겠느냐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당초 문 대통령은 대표적 재벌개혁파이자 '친문 실세'로 분류되는 김 전 원장을 임명, 땅에 떨어진 금융감독 수장의 위신을 높이고 '금융 적폐 청산'의 고삐를 늦추지 않겠다는 의지를 표명했다.

김 전 원장은 참여연대를 창립하고 2012년 비례대표로 제19대 국회에 입성한 뒤 정무위에서 날선 지적으로 금융당국과 금융기관을 쥐락펴락해 '저격수'란 별명이 붙었을 정도로 개혁적인 인사로 금융 개혁에는 '제격'이란 평을 받았고 금융권에서는 '저승사자'가 왔다며 바짝 긴장했다.

하지만 그랬던 김 전 원장조차 불명예스럽게 물러났다. 문재인 정부의 금융 개혁 작업 자체에 어느 정도 타격은 불가피하다. 허나 다시 금융개혁에 적합한 인물을 임명할 것이라는 예상이 지배적이다. 민주당 한 관계자는 "여기서 밀리면 앞으로 할 수 있는 게 없다"고 말한다. 김 전 원장의 낙마가 개인적 차원의 문제가 아니라 여야 힘겨루기 상징적 한판이라는 뜻이다.

금융계에서는 벌써부터 '더 센 놈이 온다'는 우스개 소리도 나오고 있다. 그만큼 문 대통령의 금융개혁 의지를 가볍게 보지 않기 때문이다. 일각에서는 주진형 전 한화증권 사장 등이 후임 금감원장으로 거론되고 있다.

 

 

저작권자 © 금융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