꾸준히 증가해 온 ELS 발행액 ... 17년 81조 → 19년 99조로
DLF 사태 때 ELS도 고위험 상품으로 지정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와
2015년 대폭락 경험했던 H지수 사태에 이어 유로스톡스50도 우려 나왔지만 현재는 회복세

[사진=뉴시스]
[사진=뉴시스]

[FE금융경제신문=안다정 기자] ELS 발행액 총량제가 임박했다는 이야기가 업계를 중심으로 나온다. 일각에서는 자체 헤지 비중을 줄이는 방향이 적절하다는 반응도 나오는 가운데, 이 같은 규제가 현실화하면 소비자 선택권이 줄어들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 ELS 규제 강화되면 “소비자 선택권 줄어들 것” 경고 나와

15일 증권업계에 따르면 지난 5월 금융당국이 증권사 자기자본 100% 내로 ELS 발행가액을 제한하는 ‘ELS 발행액 총량제’를 실시할 수도 있다고 시사하면서 증권업계의 고심은 깊어졌다. 최근 금융투자협회 비공개 오찬모임에서 금융당국 관계자가 증권사 CEO 모임에 참여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ELS 발행액 총량제’가 임박했다는 의견이 나왔다.

ELS는 이른바 ‘중수익 중위험’을 내 건 상품이다. 지난 4월 금융감독원의 ‘증권사 파생결합증권 발행 및 운용 현황’에 따르면 파생결합증권으로 분류되는 ELS 발행 가액은 2017년부터 꾸준히 증가해 온 것으로 나타났다. ▲2017년 81조원 ▲2018년 86조원 ▲2019년 99조원으로 꾸준히 증가했다. 그만큼 ELS 발행 규모가 점차 성장해온 것이다.

작년부터 이어졌던 DLF 사태 등 파생상품에 대한 위험성이 제기되면서 ELS도 고위험 상품으로 지정될 고비에 처하기도 했다. 그럼에도 저금리 환경에 수익률이 상대적으로 높은 ELS에 대한 고객들의 관심은 뜨겁다. 

코로나19 이후 지수형, 종목형 ELS 발행을 통해 고객 모집 효과도 톡톡히 누렸다. 한 증권업계 관계자는 “최근 ELS 발행이 주기를 짧게 해서 발행되는데 이는 ‘갈아타기’를 용이하게 만들기 위함”이라며, ELS를 통해 고객 모집 효과를 누릴 수 있다고 전하기도 했다.

다만, 발행액 총량제가 시행되면 소비자 선택권이 좁혀질 수 있다는 의견이 증권업계를 중심으로 나온다. 자기자본 100% 이내로 발행액을 제한하면 상대적으로 발행할 수 있는 전체 가액이 위축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복수의 증권업계 관계자는 “ELS 발행액 총량제가 시행되면 소비자 선택권만 위축되는 결과를 낳을 것”이라고 전했다. 이 관계자들은 “ELS 발행액이 총량제가 시행되면 종전보다 발행할 수 있는 풀(Pool)이 줄어들 수 있게 될 것”이라고 우려의 시각을 내비쳤다.

◇ 2015년부터 이어진 규제 역사 … H지수가 시초

ELS 총량을 규제하는 역사는 2015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홍콩 항셍중국기업지수(HSCEI·H지수)를 기초자산으로 삼았던 ELS가 크게 하락하면서 녹인(Knock in) 구간에 진입하는 등 위험성이 높아지자 원금 손실 가능성이 크게 제기됐다. 다만 H지수 ELS 총량규제 또한 지난 2018년을 기점으로 풀리게 됐다.

코로나19 여파로 유로스톡스(EURO STOXX)50 지수에 대한 하락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ELS 발행액 총량제 필요성이 대두된 것으로 보인다. 다만 ELS 지수형 상품 중 유로스톡스50을 편입해 구성된 상품은 유럽의 적극적인 재정확장정책 및 각종 정책 수단이 사용되면서 바닥을 쳤던 3월 이후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또 업계에서는 발행액을 규제하기보다는 증권사별 자체 헤지 역량을 보강하는 것이 낫다는 의견도 존재한다. 마진콜(증거금 추가 납부 요구) 우려를 불식시키기 위해서는 결국 외화 자금의 융통 능력이 중요한데, 위험부담금 성격의 증거금을 충분히 보유하고 있으면 자체 헤지로도 손실을 메꿀 수 있다는 것이다.

저금리 환경에 재테크 수단인 ELS에 대한 과도한 우려로 인해 소비자 선택권이 줄어들게 되는 부작용이 발생하면 투자 환경이 위축될 수밖에 없어 당국과 증권사 간 줄다리기는 계속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금융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